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7841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20년 4회차 12번 h11**** 2021-04-21 1856
1. 교재 내용 (*부록*)
  터빈입구 습증기 엔탈피 = 427 + 0.93x(3573-427) = 3352.78 kj/kg
  터빈출구 습증기 엔탈피 = 2641 kj/kg
  출력 = 2847.12 kw

2. 동영상
  터빈입구 습증기 엔탈피 = 2873.75 kj/kg
  터빈출구 습증기 엔탈피 = 427 +(2641-427) x 0.93 = 2486.02 kj/kg
  출력 = 1550.92 kw

혹시 정오표가 있는지요? 저는 아직 정오표를 보지 못했어요.
답글 수정 삭제
47842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20년 4회차 12번 김계호 교수 2021-04-21 1856
답변입니다)

동영상 강의 내용가 착오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동영상 강의 내용이 맞습니다.
그리고 동영상 내용과 같은 문제를 지금 보내드립니다.
착오를 일으켜서 죄송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828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20년 4회차 3번 h11**** 2021-04-19 1855
급수엔탈피를 급수온도 20도씨로 해서 20 kcal/kg으로 계산하였는데
건포화증기엔탈피나 포화수엔탈피, 증발잠열 모두 다 단위를 kcal/kg이 아닌 kJ/kg으로 반영하였기에
 급수엔탈피 단위도 kcal/kg이 아닌 kJ/kg해야 하는게 아닌지요?
답글 수정 삭제
47831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20년 4회차 3번 김계호 교수 2021-04-20 1857
답변입니다)
h2-h1에서 h1은 급수 엔탈피입니다.
수험생의 기억으로 문제를 만들다 보니
급수엔탈피가 주어지지 않고 급수온도가 주어졌다는 
의견이었습니다.
만약, 질의하신대로 급수엔탈피가 주어졌다면 그 값을
h1으로 하시면 되는데 여기서는 20*4.186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열정산에서 급수 엔탈피는 급수온도 자체 값으로 합니다.
따라서 20 도씨인 경우 20kcal/kg이 되고 여기에 4.186으로 
곱하면 kJ/kg이 되기 때문에 문제가 이렇게 출제됐다면 당연히
이렇게 풀어야 합니다. 전혀 문제 이상이 없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810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20년 2회차 11번 h11**** 2021-04-18 1855
상대습도(Hr) 구하는 공식에서 분자인 (현재)수증기 분압 Pa는 17.5mmHg로 반영하였는데
문제에서는 포화수증기 분압이 17.5mmHg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이전에 배운 공식으로 보면  
Pa  = Pws - (td - tw) x Po / 1510
   - Pws (습구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분압), Po: 표준대기압 (760 mmHg) 
   - td :건구온도(25도),  tw :습구온도(20도)
로 나타내어지는데 이 공식으로 적용해도 문제 없는지요?
답글 수정 삭제
47812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20년 2회차 11번 김계호 교수 2021-04-19 1855
답변입니다)
문제에서 25도씨에서 20도씨로 변했다는 조건에서
20도씨의 값이 현재 수증기 압이 됩니다.
따라서 17.5/23.8 이 맞습니다.
동영상 내용대로 하시면 됩니다.
질의하신 공식은 동영상 내용대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가
주어진 조건이면 질의하신 공식을 이용하여 수증기 분압을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여기서는 단순히 25도씨에서 20도씨로 바뀐 상태에서
 의 상대습도를 구하는 문제이니 그냥 나누시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800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95번 질의 h11**** 2021-04-18 1855
발생하는 열량 Q = G C dt 에서 G,C 수치를 포화증기의 값이 아닌 강관의 G,C로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7806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95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18 1855
답변입니다)
질의 하신 내용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증기가 오랜 시간동안 강관을 통해 흐른다면
결국 증기의 열량만큼 강관의 열량도 올라 가겠죠?
특히 강관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외기 온도와의 차가 클수록,
강관의 비열이 클수록 보유 열량이 커지게 되겠죠?
보유 열량이 클수록 응축수 생성량이 많아지는 이유입니다.

* 재증발기 문제 처럼 압력이 저하되어 포화수의 엔탈피가
  저하되는 문제일 경우에는 질의 하신 것 처럼 포화수 엔탈피의
  차를 계산하여 증발잠열로 나누는 게 맞습니다만, 이 문제는 
  위의 방식대로 풀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99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0년 4회차 (11월29일 시행) 연소공학 17번 h11**** 2021-04-18 1856
2. 몰분율(%) 구하는 공식에서 (분자 부분)

    3) O2 = (1.5 -1) X 12.5
    4) N2 = 12.5 x 3.76

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7805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0년 4회차 (11월29일 시행) 연소공학 17번 김계호 교수 2021-04-18 1856
답변입니다)

1. 다른 원소는 연소후 남는 성분들입니다.
   O2는 연소시 이론상 연소에 필요한 부분을 뺀후 남는 성분을 계산하게 됩니다.
   다시말해서 과잉 산소량이 되는 것입니다.
   즉, 공기비가 1.5이므로 (1.5-1)*12.5가 연소후 남은 산소의 체적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산소를 계산할 때에는 공기비-1을 해 줘야 합니다

2. 질소는 대기중에 79%이고, 산소는 21%입니다 (체적식으로)
   따라서 질소는 산소의 79/21 = 3.76배 입니다.
   그래서 산소량*3.76배를 하는 것입니다

차분히 읽어 보면서 이해를 하시기 바랍니다

-지금처럼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98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83번 질의 h11**** 2021-04-18 1855
Gw 단위가 KJ/Nm3, Hl (저위발열량)단위도 KJ/Nm3, Cm(배기가스 평균비열) 단위도 KJ/Nm3  인데,
온도 구하는 공식 t = Hl / ( Gw x Cm) 에서 어떻게 t 단위가 K 가 도출되는지요?
답글 수정 삭제
47803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83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18 1855
답변입니다)
습연소가스량(Gw)의 단위가 Nm^3/Nm^3인데 열량으로 잘못 됐군요.
그렇게 단위를 정리하면 K가 나옵니다.

내일(4월19일) 재촬영 일정이 있습니다.
이 부분도 수정하여 재촬영토록 하겠습니다

풀이과정 및 답은 변함이 없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91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42번 질의 h11**** 2021-04-17 1855
V= C 루트 (2g P/r) 공식에서 P는 동압 (= 전압 - 정압)으로 알고 있습니다.
 허나, 해설에서는 전압이 대기압보다 52mmH2O 높다고만 언급하였는 데 정확히 동압에 대해선 설명이 없습니다. 
 
 따라서, 질문의 요지는
 대기압을 정압으로 봐서, 전압-대기압(정압) = 동압을  52mmH2O로 반영하였는지 문의 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7793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42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17 1855
답변입니다)
1mmH2O = 1kg/m^2입니다.

여기서 P는 압력을 의미하는데 52mmH2O를 52kg/m^2로 바꿔서
계산한 것입니다.
풀이 과정을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79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24번 질의 h11**** 2021-04-15 1855
증기발생량을 구하는 공식을 간략히 설명해주셨는 데 이해하기가 다소 어려워서 좀 더 알기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특히, 공식의 분자가 775.1 kj/kg (1MPa에서 포화수 엔탈피) - 636.6 kg/kg (0.4MPa에서 포화수 엔탈피)로 되어 잇는데
이 부분이 특히 이해가 잘 안되어서요!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