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7339 | [답변] 2012년 9월15일 6번문제와 2014년5월25일 6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0-12-19 | 1857 |
답변입니다) 그동안 치렀던 많은 시험문제 중 간혹 답이 닥 떨어지지 않는 문제들이 몇 문제 있습니다. 이 문제도 그런 문제 중의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풀이과정을 참조하여 문제에 제시된 91.65:8.36를 2014년도 문제와 연결하여 외워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2020년 12월20일 위 내용에 대한 추가 답변입니다- 위 질의에 대해 심도있게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풀이가 가능합니다 공기비(m) = N2/(N2-3.76O2) = 84.92/(84.92-3.76*3.76) = 1.2 1) C3H8+5O2 = 3CO2+4H20 A= 5/0.21 * 1.2 = 28.57Nm^3 2) C4H10+6.5O2 = 4CO2+5H20 A= 6.5/0.21 *1.2 = 37.14Nm^3 (프로판과 부탄이 체적비로 1:1로 혼합된 것으로 가정하여 실제공기량을 계산하면) A= (28.57+37.12)/2 = 32.86Nm^3 과잉공기량 = (m-1)A0 = (1.2-1)*((5*0.5)+(6.5*0.5))/0.21 = 5.48Nm^3 1) LPG중의 부탄의 부피비 = 5.48*0.5/32.86 = 0.0834 = 8.34% 2) LPG중의 프로판의 부피비 = 100-8.34 = 91.66% 3) 프로판의 부탄에 대한 비 = 91.66/8.34 = 10.99배 로 풀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이 됩니다만 위 조건에서 프로판과 부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뒤바껴도 답은 동일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계산과정이 길고 복잡한 문제이니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과정을 익히신 후 그 결과를 외워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34 | 2015년9월19일 시행 1번문제 | ebo**** | 2020-12-14 | 1856 |
이론습연소가스량 구하는 식에서 왜 CH4에 3을 곱하는지요? 책에서의 공식과 다른거라 혼동이 옵니다 | ||||
47335 | [답변] 2015년9월19일 시행 1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0-12-14 | 1857 |
답변입니다) 이론습연소가스량을 구하는 문제를 교재에 나와있는 공식대로 풀면 답이 안나올겁니다 (4.79로 나옵니다) 습연소가스량에 수분이 제시가 되질 않아서 정확히 맞아 떨어지질 않습니다. 실제로 이 문제 같은 경우는 우리가 공부한 공식에는 없지만 G0W = (1-0.21)A0+H2+CO+3CH4+(m+n/2)CmHn 공식을 써야 합니다 이 공식은 에너지관리 교재에는 없는 내용이어서 계산할 때 3CH4로 문제를 풀어 드린 것이고 강의 내용 중에 CH4 대신에 이럴 경우 3CH4를 쓴다는 내용으로 강의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후 이런 유형의 문제는 안 나온것으로 기억합니다만 이럴 경우 위 내용대로 풀어주시길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32 | 에너지관리기사 p.31. 22번문제 | jws**** | 2020-12-12 | 1855 |
교수님 수고많으십니다. 궁금한사항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p. 31. 22번 문제물이 과정에서 -60+(0.3+0.1013)x1000x(5-3) 과정에서 (5-2)에 대한 질문입니다. p.25, 예제1. 또는 p.31, 23번 문제 등 에서는 (V2 - V1) 즉 나중에 변한체적 - 처음 변하기 전 체적인데 22번 문제 지문에서 일정한 게이지 압력하에서 5㎥ 이 3㎥로 마찰없이 압축되었다 하는데 여기서 5㎥가 처음변하기 전 체적이고 3㎥가 나중 변한체적 같이 생각되는데 위 예제1과 23번 문제 나중체적 - 처음체적과 다른 V1 - V 인 (5 - 3)가 되는것은 다른 이유가 있는것인지요? |
||||
47333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p.31. 22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0-12-12 | 1855 |
답변입니다) 공식을 변형해서 계산 한 것인데 결국 같은 값입니다. 22번 문제는 dU =dQ + P(V1-V2)로 계산한 것인데 dU = dQ - P(V2-V1)계산해도 같은 값이 되겠습니다. 식을 정리하면 dQ= dU + W = dU + P(V2-V1) dU = dQ - P(V2-V1) = dQ + P(V1-V2) 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28 | 질문드려요 | sni*** | 2020-12-07 | 1856 |
p458에 37번 감압밸브를 2단으로 설치시 1단의 설정압력이 2단보다 높게한다. 잘 모르겟습니다. 알려주세요 | ||||
47329 | [답변] 질문드려요 | 김계호 교수 | 2020-12-07 | 1856 |
답변입니다) 산업현장에서 감압변을 사용할 때, 감압비가 10:1이 넘는 경우 보통 2단 감압을 실시합니다. 예를들어 보일러에서 20kg/cm2(약 2MPa)의 증기를 생산할 때, 열사용처에서는 2kg/cm2(약0.2MPa)를 사용한다면, 보일러에서 생산한 압력을 사용설비에 그대로 보내면 안되겠죠. 그러므로 사용설비에 맞도록 압력을 낮춰야하는데 압력은 보일러실에 있는 증기헤더에서 낮추기도 하지만 이는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설비 바로 앞에서 감압을 하게됩니다. 이때 20kg/cm2(약 2MPa)에서 2kg/cm2(약0.2MPa)를 낮출 경우 감압비가 10:1이므로 2단으로 나누어서 감압하게 됩니다. 이럴경우 1단 감압은 약 5kg/cm2정도, 2단 감압은 2kg/cm2정도로 하게 됩니다. 만약 반대로 1단을 2kg/cm2, 2단을 5kg/cm2을 하면? 안된다는 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그러니까 1단이 당연히 2단보다 높아야 합니다. 아마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현장 경험이 부족할 때 지금처럼 1단, 2단을 읽는 순간 숫자에 대해 착각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번 더 곰곰히 생각해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19 | 2018년4월28일 시행 13번문제 | ebo**** | 2020-12-04 | 1855 |
버너 에서의 역화 방지대책 답 해설은 버너온도가 낮을때 역화가 일어난다고 하고 그대책으로 1번 버너온도를 올리는것은 답이 아니라고 하는데 헷갈리네요 |
||||
47327 | [답변] 2018년4월28일 시행 13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0-12-05 | 1855 |
답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해설이 잘못되었습니다. 즉시 수정토록하겠습니다 역화의 원인으로는 1) 버너과열 2) 착화지연 3) 프리퍼지부족 4) 연료를 공기보다 먼저 투입하는 경우 5) 연료밸브 급개 6) 연료가스의 유출속도가 느린 경우 7) 연료밸브 급개 등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따라서 풀이에서는 역화는 버너가 과열된경우, 착화가 지연되는 경우, 프리퍼지가 불충분한 경우로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291 | p508 9번문제 질문입니다 | han***** | 2020-11-27 | 1855 |
p508 과년도 기출 2014년도 3회 차 9번문제입니다 위의 주어진 단위로 계산을 할 경우 w 만 남습니다 하지만 w/h 를 구하기 위해서는 3600을 한번 더 나눠줘야 하지 않은지 여쭤봅니다 |
||||
47292 | [답변] p508 9번문제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0-11-27 | 1855 |
답변입니다) 그렇군요. 주어지는 문제는 ~ 중공원관의 열손실량은 몇 W인지 구하시오 로 돼야 맞겠습니다. 풀이 과정은 이상이 없으니까 W로 해서 풀이하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246 | 교수님 질문드려요 .사진첨부합니다. | sni*** | 2020-11-19 | 1856 |
사진에서 보셨듯이 2-3 과정은 방열이 아니고 압축인것과 4-1 과정에서 가열이 아니라 팽창 인 부분을 잘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세요 교수님*^^* | ||||
47253 | [답변] 교수님 질문드려요 .사진첨부합니다. | 김계호 교수 | 2020-11-19 | 1856 |
답변입니다) 1-2(압축기) : 단열압축 2-3(응축기) : 등압방열 (2-3은 체적이 등압상태에서 줄어듦:등압압축도 맞는 말임) 3-4(팽창기) : 단열팽창 4-1(증발기) : 등압흡열 (4-1은 등압과정에서 체적이 늘어나므로 : 등압팽창이고 T-S선도에서 보면 온도가 올라가므로 등압가열도 맞습니다)) 여기서 열을 받는냐 방출하느냐에 따라 흡열, 방열로 구분한 것입니다. 질의 하신대로 모두 맞는 말입니다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 하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237 | 에너지실기 19년 2회차 8번문제 필답 설명이요... | kth**** | 2020-11-18 | 1856 |
P = 비중량 x h = 밀도 x g x h h = P / (밀도 x g) v = 루트(2gh) = 루트 (2 x g x P / (밀도 x g)) = 루트 (2 x P / 밀도) 수식기호를 못써서 설명이 좀 그런데 이렇게 설명이 들어가는게 맞는거 같아요 ㅠㅠ 압력 단위 파스칼이랑은 상관없지 싶습니다.. |
||||
47252 | [답변] 에너지실기 19년 2회차 8번문제 필답 설명이요... | 김계호 교수 | 2020-11-19 | 1855 |
답변입니다) 1. 지금 식을 유도할 정도면 어떤 문제든지 풀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2. Pa단위인 경우에는 루트 안에 g가 빠진다는 것과, mmH2O인 경우에는 루트 안에 g가 들어 간다는 것을 비교 설명하기 위해 나열한 것입니다. 3. 시험장에서는 외운 공식을 빨리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 것인데, 지금 수강생인 경우에는 확실한 개념이 돼 있으므로 그대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