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6523 | [답변] P459. 동영상문제 3번 질문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0-07-08 | 1855 |
답변입니다) 문제가 수험생의 기억에 의해 작성되다 보니 좀 어색한 것 같습니다. 문제의 내용은 표준상태에서의 가스를 가압 공급했을 때 연소열량 계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스는 T2, P2, v2로 표시한 것입니다. 여기서 270m3/h는 표준상태에서의 270m3/h일 때 가스의 공급압력~ 로 하시고 풀어 보시기 바랍니다 |
||||
46461 | [질의] 에너지관리기사_실기 | ins******** | 2020-07-02 | 1856 |
1. [2010년 1회차 동영상 02번] 팬코일유니트 ☞ (풀이) 실내온도 조절방법 : 온도조절기를 풍량조절 스위치와 함께 부착하여 부하에 따라 유량을 제어하는 시스템 ☞ (질의) 실내온도 조절방법 : 온도차를 조절하는 방법도 가능한가요?? 2. [2010년 1회차 동영상 10번] ☞ (풀이) 바이패스 배관 ☞ (질의) 저는 그림을 보고 스팀트랩장치로 생각을 했습니다. 답 가능할까요?? 설치목적은 스팀트랩 설치목적을 적으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가능한가요?? 3. [2010년 2회차 동영상 4번] ☞ (질의) 정답중 ②이 연료량 증가에 따른... 에서 끝났는데 뒤에 흘린 말이 무엇인가요?? 4. [2010년 3회차 동영상 4번] ☞ (풀이) ① A : 시간당 열매사용량 ☞ (질의) ① A : 시간당 증기발생량 가능한가요?? 5. [2010년 3회차 동영상 10번] ☞ (질의) 교재의 답이 반대로 나와있는거 같은데 맞나요?? (압력제한기 / 압력조절기) 6. [2011년 1회차 필답형 7번] ☞ (질의) 급수온도 23℃랑 급수엔탈피 85kJ/kg은 관계가 없나요?? (23kcal/kg x 4.2 kJ/kcal = 96.6kJ/kg) 7. [2011년 3회차 필답형 1번] ☞ (질의) 배기가스량을 계산할때 Gow=(1-0.21)A0+SO2 였는데 해설은 22.4/32 로써, S만을 고려하였습니다. 하지만 수식대로라면 22.4/(32+(16x2)) 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8. [2011년 3회차 필답형 3번] ☞ (질의) 차압식유량계 유량산정을 모르겠습니다. 공식으론 비중량이 분모에 있었는데 갑자기 비중이 분자에 올라와서 (13.55-1) 이 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
||||
46478 | [답변] [질의] 에너지관리기사_실기 | 김계호 교수 | 2020-07-05 | 1855 |
답변입니다) 1. 부하에 따라 유량을 제어하여 온도차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써도 무난하겠습니다 2. 스팀트랩은 1개의 부속입니다. 전체로 나타난 그림은 스팀트랩을 포함하여 여과기 밸브류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바이패스 장치에 대한 답을 써야 합니다. 질의하신 것처럼 스팀트랩을 물어 볼 경우 스팀트랩을 원 안에 표시하여 물어 볼 경우 스팀트랩에 대한 답을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3. 연료량 증가에 따른 배기가스 온도 상승이 되겠습니다 4. 열매체 보일러는 다우섬, 카네크롤 등 비열이 작은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고 증기 보일러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열매체 보일러인 경우에는 열매, 증기 보일러인 경우에는 증기, 온수 보일러인 경우에는 온수로 쓰시는 게 정확한 답이 되겠습니다. 5. 교재에 있는 답이 뒤바껴서 새로 촬영하면서 전부 수정한 바 있습니다. 질의 하신대로 밑에 볼록한 부분을 가지고 구분하시면 됩니다. 벨로즈가 들어가 있어 볼록한 부분이 압력조절기이고 나머지가 압력제한기 맞습니다. 따라서 여기서 A는 압력조절기, B: 압력제한기 입니다. (2019년 1회차 동영상 9번도 동일합니다) 6. 교재에 있는 시험문제는 수험생의 기억에 의해 작성된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문제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질의하신 것 처럼 23도씨인 경우 급수엔탈피는 23kcal/kg=약96.6kJ/kg이 되는데 주어진 조건이 85kJ/kg으로 제시 되었다면 제시 된 값으로 계산하는 게 맞습니다 7. 여기서 물어보는 것은 가연성 원소(s, h, c)등을 연소 했을 때 1KG당 얼마의 배기가스가 발생하느냐? 입니다 그러니까 생성된 배기가스 SO2은 표준상태에서 22.4NM3이 발생하는데 여기서는 황(S)을 연소하였으로 황의 분자량 32kg으로 나누어 줘야 합니다. 질의하신 22.4/32 가 맞습니다 8. 이 공식에서 p/r = h 입니다. 따라서 비중의 차(수은과 물)에 의한 높이차 (13.55-1)*100/1000로 계산한 것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의문나는 것이 있으면 항상 본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6408 | p.105 53번 질문드려요. | bib***** | 2020-06-24 | 1855 |
교수님 105p 53번 U자관 문제에서 0.5kg/cm2*10^4cm2/m2 + 0.8*1000*1m = 13.6 * 1000 * h 풀이에서 비중 0.8과 13.6에 1000을 왜 곱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
46409 | [답변] p.105 53번 질문드려요. | 김계호 교수 | 2020-06-24 | 1855 |
답변입니다) 압력(p) = 비중량(r) * 높이(h) 여기서, 비중량(r)= 비중*1000입니다. (비중은 물이 기준이므로 1000kg/m^3을 곱합니다) 예)물= 1*1000= 1000kg/m^3 수은= 13.6*1000 = 13600kg/m^3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압력을 구하려면 비중*1000 을 해야 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6403 | 필답형 188번 계산과정 맞나요? | yhk***** | 2020-06-22 | 1855 |
144쪽 문제 188번에서 GCpdT 적분 계산에서 로그계산하는 것이 맞나요? 로그값 계산에서 6.3[ln(t+80)]120/20 풀이를 6.3[ln(200-100)]으로 하셨는데 6.3(ln200-ln100)으로 하고 그 값도 29가 아니고 4.37이 되어야 하지 않습니까? 최종값도 바꾸어야겠지만요. |
||||
46404 | [답변] 필답형 188번 계산과정 맞나요? | 김계호 교수 | 2020-06-22 | 1855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대로 ln값 계산과정에서 잘못됐습니다 다음과 같이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적분계산 이하 ~ 0.15 x (120-20) + 6.3[ln200-ln100]= 15 + 4.37 =19.37 kJ dU= dQ - PdV = 19.37-101.3(4-2)=19.37 - 202.6 =-183.23 kJ 답) -183.23 kJ 2. 수정된 정오표를 송부토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6394 | 필답형 예상문제 176번에서 1.0332는 왜 곱하나요? | yhk***** | 2020-06-21 | 1855 |
140쪽 굴뚝 상부면적 계산시 1.0332는 왜 곱하나요? 배기가스는 0`C 1기압에서 1물 기체 부피를 22.4L기준으로 계산하고 가스압력이 1320mmHg이니까 1기압 760mmHg기준대비 부피가 줄었으면 되었는데 여기에다가 1.0332를 곱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강의내용에도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네요???? |
||||
46398 | [답변] 필답형 예상문제 176번에서 1.0332는 왜 곱하나요? | 김계호 교수 | 2020-06-21 | 1855 |
답변입니다) 질의하신대로 1.0332가 빠져서 57.21m^2가 맞습니다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
||||
46393 | 필답형 예상문제 173 가스처리속도 단위 확인 | yhk***** | 2020-06-21 | 1855 |
교재139쪽 집진장치 백필터 수 문제에서 \'다음\' 가스처리속도가 1.2m/s 인데 풀이에서는 s(초) 단위가 min(분)으로 바뀌어져 있습니다??? | ||||
46397 | [답변] 필답형 예상문제 173 가스처리속도 단위 확인 | 김계호 교수 | 2020-06-21 | 1855 |
답변입니다) 네, 여기서 함진 공기량이 80m^3/sec로 해야 되겠네요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
||||
46392 | 온도보정계수가 무엇인가요? | yhk***** | 2020-06-21 | 1855 |
에너지관리 실기 필답형 예상문제에서 158번과 162번 문제풀이에서 60도에서의 비중을 계산하는 단계에서 158번에서는 15도에서의 비중을 온도보정계수로 나누어 주었고 162번에서는 15도에서의 비중에서 온도보정계수를 곱했습니다. 어느 것이 맞나요? 그리고 온도보정계수 식이 서로 다른데 그때그때 달라지나요? | ||||
46395 | [답변] 온도보정계수가 무엇인가요? | 김계호 교수 | 2020-06-21 | 1855 |
답변입니다) 이 문제는 실제 산업체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계산법입니다. 예를들어 b-c유를 정유업체에서 회사에 납품할 때 15도씨에서 출고하여 회사에 도착하니 기온이 30도씨인 경우 온도가 상승한 만큼 부피가 증가하고, 비중은 은 감소하게 됩니다. 즉 중량의 변화는 없지만 여기서는 15도씨에서 60도씨로 되는 경우 부피는 증가하게 되고 비중은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V1*S1=V2S2 공식에 대입하는겁니다. 온도보정계수 K는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정값으로 발열량을 계산할 때 온도보정계수가 없으면 저위발열량*연료소비량으로 계산하고 보정계수가 있으면 그 값에 보정계수를 곱하면 됩니다 |
||||
46399 | [답변] 온도보정계수가 무엇인가요? | yhk***** | 2020-06-22 | 1855 |
감사합니다. 그런데 162번에서는 곱해주었는데 왜 158번에서는 나누어주었는지요? |
||||
46383 | 노통연관식보일러 전열면적 계산은 내경기준이 아닌가요? | yhk***** | 2020-06-18 | 1855 |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예상문제 P.110 문제072에서 랭커셔보일러의 전열면적 계산시 두께를 합한 외경을 기준으로 풀이가 되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수관식은 외경기준, 노통연관식은 내경을 기준으로 계산해야하는 것으로 압니다. 연기가 닿는 면을 기준으로 해도 내분식은 내경기준으로 계산해야 할 것 같은대요? 필기교제 P.455 참조. 어느 것이 맞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