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557 | [답변] 정오표에 수록되지 않은 다른 변경사항은 정오표가 없는건지요 | las****** | 2023-09-09 | 6 |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요청하신자료는 메일로 바로 전송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50556 | [답변] 정오표에 수록되지 않은 다른 변경사항은 정오표가 없는건지요 | 김계호 교수 | 2023-09-09 | 9 |
답변입니다) 에디스트에 추가로 조치 부탁했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551 | 필답 13년3회 6번 질문입니다 | ssl**** | 2023-09-07 | 15 |
단열시에 t2/t1 = [p2/p1] k-1/k 를 이용해서 적용해서 압력대신 온도를 대입하면 다른값이 나오는데 잘못된 풀이인가요? | ||||
50552 | [답변] 필답 13년3회 6번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9-07 | 13 |
답변입니다) 1. 단열과정에서 전, 후의 온도가 주어지고 압력이 한 개 주어졌을 때 나머지 압력을 구하는 계산이나, 또는 반대로 압력이 두 개 주어지고 온도가 한 개 주어졌을 때 나머지 다른 온도 하나를 계산할 때에는 질의하신 공식을 쓰면 됩니다 2. 여기에서는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T2/T1 = (P2/P1)^(k-1/k) 에 대입하면 (58+273)/(120+273) = 0.842 (0.5/1)^(1.4-1/1.4) = 0.82 가 나오게 되어 값이 차이가 납니다 3. 이 경우 교재에 주어진 공식대로 압력의 비를 이용한 공식으로 풀어야 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533 | 필기 17년 4회 23번과 44번 질문입니다 | ssl**** | 2023-08-29 | 16 |
왜 열과 일이 들어 왔는데 방출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110줄과 40줄의 일을 받고 50줄의 일을 외부했으니 에너지를 더 받은게 아닌가요? 추가로 17년 4회 44번은 바이메탈온도계의 응답이 빠르다고 해설되어있는데 17년 2회 48번은 반대로 되어있습니다 |
||||
50534 | [답변] 필기 17년 4회 23번과 44번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8-29 | 15 |
답변입니다) 1. 폐쇄계에서 열을 받았을 때 1사이클이 끝나는 지점에서의 열의 합은 0이 됩니다 따라서, 110J의 열을 받은 후 그 중에서 50J을 외부에 하므로 110J-50J = 60J 이 됩니다. 이 열이 다시 40J의 일을 받으므로 60J+40J = 100J 이 됩니다. 1사이클이 끝나면 100J의 열을 방출해야 0이 되므로 100J(방출) 이 되는 것입니다. 2. 바이메탈 온도계의 특징은 2017년 2회 48번의 내용이 맞습니다. 이 부분은 내용을 수정하여 새로 재촬영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2017년 2회 48번으로 정리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P343 문제44의 설명 중 1)온도변화에 대한 응답이 신속하지 못하다가 맞습니다 (이 부분은 정오표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535 | [답변] 필기 17년 4회 23번과 44번 질문입니다 | ssl**** | 2023-08-29 | 10 |
답변감사드립니다 그러면 사이클 과정으로 이뤄지는 문제에서는 0으로 시작해서 - 열을 받아서 일을 하고 - 남은 일을 되돌려 받으면서 남은 열을 내보내서 - 다시 0이 되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 사이클이 제시되지 않을 경우에는 강의에서 말씀하신대로 초등산수 마인드로 단순히 + 이면 받은 것이고 -이면 내보낸 것으로 구분해서 생각하면 될지요 |
||||
50536 | [답변] 필기 17년 4회 23번과 44번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8-30 | 9 |
답변입니다) 1. 폐사이클에서는 열의 출입 문제 뿐만 아니라 엔트로피의 합도 0이 됩니다. 2. 동영상 강의에 보시면 이 문제는 초등학생 마인드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이해가 잘됩니다 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3.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으로 정리하시면 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525 | 필답형 104번 문제 | yij** | 2023-08-17 | 16 |
3257-(593+2361)에서 포화수 593은 갖고 들어가는데 왜 빼는지요? 만약 0도씨에서 포화수가 되는데 539가 필요하다면 당연히 빼는것이지만 이미 열량을 갖고 들어가는데 다시 빼는이유가 ? 539에서 2361까지 되는 열량만 있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
||||
50526 | [답변] 필답형 104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8-18 | 17 |
답변입니다) 1. 위 문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과열증기 + 포화수 = 포화증기(=포화수 엔탈피+증발잠열) (3257kJ/kg) (593kJ/kg) (593+2361kJ/kg) 2. 1) 과열증기가 잃은 열량 과열증기 엔탈피 - 포화증기 엔탈피 = 3257-(593+2361) = 303kJ/kg 2) 포화수가 얻은 엔탈피 포화증기 엔탈피 - 포화수 엔탈피 = (593+2361)-593 = 2361kJ/kg(=증발잠열) 3. 과열증기가 잃은 엔탈피 = 포화수가 얻은 엔탈피 303 = 2361x X X = 303/2361 = 0.13kg 4. 따라서 질의하신 593은 포화증기엔탈피=포화수엔탈피+증발잠열 이기 때문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527 | [답변] 필답형 104번 문제 | yij** | 2023-08-19 | 10 |
그러면 122번 문제는 제가 말한대로 풀었는지 궁금합니다. | ||||
50528 | [답변] 필답형 104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8-19 | 12 |
답변입니다) 1. 이 문제는 꼭 하나의 방법으로만 풀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풀 수 있습니다 교재에 있는 방법으로 설명하고 다른 풀이법은 질의하신 것처럼 앞 104번 처럼 풀어보겠습니다 2. 먼저, 이 문제는 과열증기(500kg) + 포화수(x kg) = 습포화증기(500+x kg : 93%) 를 얻는 과정입니다 여기서, 반응 전 엔탈피 총합 = 반응후 엔탈피 총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먼저 반응 후의 증기는 건포화 증기가 아니라 습포화 증기 이므로 습증기엔탈피(hx= h1+x*r = 758+2108*0.93= 2718.44 kJ/kg 을 구해야 합니다) 그리고 난 후, 교재에서 푼 것 처럼 과열증기 엔탈피(kJ/kg)*500kg + 포화수 엔탈피(kJ/kg)*x kg = 2718.44(kJ/kg)*(500+x)kg 으로 놓고 풀면 x= 160.31 kg 을 구할 수 있습니다 3. 그러면, 앞에서 질의하신 104번 처럼 풀어 보겠습니다. 먼저 반응 후의 습포화 증기의 엔탈피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풀어야 합니다 (습증기엔탈피(hx= h1+x*r = 758+2108*0.93= 2718.44 kJ/kg) 다음, 과열증기가 잃은 열량 = 포화수가 얻은 열량 으로 풀 수 있습니다 (3347-2718.44)kJ/kg * 500kg = (2718.44-758)kJ/kg * x kg x=(3347-2718.44)/(2718.44-758) * 500kg = 160.31 kg 을 구할 수 있습니다 4. 위에서 푼 것처럼 풀이는 다양하게 풀 수 있습니다 어느 방법이든 자신에게 맞는 풀이법으로 풀면 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질의해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523 | 500문제에서 40번문제와 475번문제, 50번문제와 476문제 풀이중 어떤게 맞는건가요? | yij** | 2023-08-14 | 9 |
하나는 kJ/kg (40) 으로 하나는 kj/g(475) kcal/kg (50)과 kcal/g (476) |
||||
50524 | [답변] 500문제에서 40번문제와 475번문제, 50번문제와 476문제 풀이중 어떤게 맞는건가요? | 김계호 교수 | 2023-08-14 | 16 |
답변입니다) 1. 문제의 조건에서 단위가 빠졌습니다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40번) MJ → MJ/kmol 물의 증발잠열이 2.5MJ/kg일 때 메탄가스 1kg의 고위발열량은 몇 MJ/kg 인지 구하시오 (단, C + O2 → CO2 + 360MJ/kmol, H2 + 1/2O2 → H2O + 280MJ/kmol) 2) 475번) kJ →kJ/mol 메탄 1kg의 완전연소시 저위발열량 및 고위발열량은 몇 kJ/kg인지 계산하시오 (단, C + O2 → CO2 + 407kJ/mol, H2 +1/2O2 → H2O + 242kJ/mol, 물의 증발 잠열은 2,520kJ/kg이다) 3) 50번) kcal → kcal/kmol 다음의 조건을 이용하여 메탄(CH) 1kg 연소 시 고위발열량은 몇 kcal/kg인지 구하시오 (단, C + O2 → CO2 + 97,000kcal/kmol, H2 + 1/2O2 → H2O + 57,600kcal/kmol, 증발잠열은 600kcal/kg이다) 4) 476번) kcal → kcal/mol 프로판(CH) 1kg의 완전연소시 저위발열량 및 고위발열량은 몇 kcal/kg인지 산출하시오 (단, C + O2 → CO2 + 97.2kcal/mol, H2 + 1/2O2 → H2O + 68kcal/mol, 물의 증발 잠열은 600kcal/kg이다) 2. 풀이과정은 교재내용과 동일 합니다 3. 기체연료에서 일반적으로 MJ/kmol, kJ/mol 로 나타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517 | 열역학 p118 예제 3번 | snu*** | 2023-07-29 | 12 |
다른 것은 이해가 됩니다 왜 폴리트로픽 공식이 적용 됐는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문제는 사진 첨부 하였습니다 수고하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