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476 | [답변] 실기 기출문제가 받은 교재로는 2020년 4회차 까지 밖에 없습니다. | las****** | 2023-07-15 | 14 |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지금 바로 전송하였습니다. 합격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
50472 | 전열면적 관련질문 | tkw********* | 2023-07-13 | 15 |
필답 146쪽 72번 전열문제풀다가 헷갈려서 질문남깁니다. 랭커셔 전열면적을 구하라고문제에나와있는데 왜 외경으로구하는지 헷갈립니다 제생각으론 전열면적이 연소가스가 닿는곳이라고하셧던기억이납니다. 랭커셔는 내분식 임으로 내경지름을 곱하는게아닌가요? 헷갈려요 공식에 동체에지름이니 외경을곱하는거같은데 확신이없어요 코르니스 전열면적 A= 파이*D*L 랭커셔 전열면적 A= 4*D*L 횡연관식 보일러 A=파이DLN 이떄D는 연관안지름 연관보일러 A=파이DLN 전부 지름이 외경기준으로계산하면되는건가요 |
||||
50473 | [답변] 전열면적 관련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7-14 | 15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대로 전열면적의 기준은 물과 연소가스가 접촉하는 경우 연소가스 닿는 곳이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보일러인 수관식과 (노통)연관식에서 수관식은 관 안에 물이. 관 밖에 연소가스가 직접 접촉하므로 외경 기준이 맞습니다. (노통연관식)은 관 안에 연소가스가, 관 밖에 물이 접촉하므로 내경 기준이 맞습니다. 2. 랭커셔는 내분식 이므로 내경 기준 아닌가? 우선, 코르니시 보일러와 랭커셔 보일러는 위에서 말하는 연관이나 수관 처럼 관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이것들 보다 훨씬 큰 노통(드럼)으로 된 노통보일러 입니다 코르니시 보일러는 큰 동체 속에 노통이 1개 설치되어 있고, 랭커셔 보일러는 노통이 2개 설치되어 있습니다 둘 다 외경 기준입니다 (큰 노통에서 내경과 외경의 기준은 위에서의 연관, 수관 처럼 구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고 외경으로 외우면 됩니다) 코르니시는 노통이 1개 이므로 파이xDxL 랭커셔는 노통이 2개 이지만 전열면적은 코르니시의 2배가 아닌 설계값으로 약간 큰 4xDxL 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 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69 | 필답형 230문제 중 117번 | ktf**** | 2023-07-13 | 7 |
문제 풀이과정에서 프로판 0.23m3 100mj 이고요, 공기 0.42m3 입니다. 혼합가스는 0.23+0.42=0.65m3 입니다. 그러므로, 0.23:100=(0.23+0.42):X 이므로, X=혼합가 스 발열량은 = 100*(0.23+0.42) /0.23 이 아닌가요? 제가 이해가 안됩니다.이제 10일 남았는데, 직장다니며 공부하기가 쉽진않네요. | ||||
50471 | [답변] 필답형 230문제 중 117번 | 김계호 교수 | 2023-07-13 | 10 |
답변입니다) 1. 프로판이 0.23m^3 이고, 공기가 0.42m^3 이면 혼합기체의 부피는 0.23+0.42 (m^3) 이 됩니다 2. 연소시에 이 혼합기체가 모두 투입이 되는 것입니다 3. 그런데 여기서 발열량을 발생하는 것은 가연성 가스인 프로판입니다. (공기는 단지 연소를 도와주는 조연성 기체입니다) 따라서 발열량을 좌우하는 것은 프로판 가스이므로 발열량= 프로판부피/혼합가스 x 100(발열량) 로 계산해야 합니다 4. 질의하신 0.23은 프로판의 연소반응식에서 중량식으로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C3H8 + 5O2 = 3CO2 + 4H2O 를 이용한 중량계산식 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68 | 필답형 230문제 중 117번 | ktf**** | 2023-07-13 | 4 |
파일하나 더 보내겠습니다. | ||||
50466 | 필기 14년 2회 6번과 23번 | ssl**** | 2023-07-12 | 19 |
과잉공기량*0.5 / 이론 공기량이 어째서 부피비가될까요? 23번 문제 해설에 102와 9.8은 어떤관계인지도 알고싶습니다 열사용기자재와 특정열사용기자재 효율관리기자재와 평균효율관리기자재는 다른의미일까요? 도무지 정리가 되지않아서요 |
||||
50470 | [답변] 필기 14년 2회 6번과 23번 | 김계호 교수 | 2023-07-13 | 10 |
1번에 대한 답변입니다) 내용이 특수 문자가 많이 들어 있어 풀이 내용을 첨부했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2021년 2회 문제 및 풀이 동일합니다) |
||||
50467 | [답변] 필기 14년 2회 6번과 23번 | 김계호 교수 | 2023-07-12 | 13 |
답변입니다) 1. 프로판과 부탄의 체적비의 전제조건이 1:1로 가정한 오류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별도의 풀이 과정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답은 11배로 2번이 맞습니다) 2. 단열과정에서의 음속을 구하는 문제에서 C= 루트 kgRT = 루트 1.4x9.8(m/s^2)x0.287(kJ/kg*K=kN*m/kg*K)x1000(J/kJ)x1/9.8(kg/N)x273(K) = 루트 1.4x9.8 x0.287 x102 x273 (102는 kJ=kN*m를 J=N으로 바꾸면서 1000을 곱했고, 1kg=9.8N이므로 1000/9.8 = 102가 됐습니다) 위에서 보는 것 처럼 루트 안에서 9.8을 곱하고 다시 9.8로 나누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중력가속도 g를 제외하고 계산하면 됩니다 C= 루트 kRT = 루트 1.4x 0.287x1000x273 = 331.19m/s 3. 특정열사용기자재 열사용 기자재 중 안전관리, 에너지이용의 효율관리가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설비인데 보일러, 태양열 집열기, 압력용기, 요업요로, 금속요로(이 외는 그냥 열사용기자재임) 등이 해당되며 특히 이 특정열사용기자재는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시,도지사에게 등록한다는 것은 꼭 알아 두어야 합니다 4. 1) 효율관리기자재 전기냉장고, 전기냉방기, 전기세탁기, 조명기기, 삼상유도전동기, 자동차 2) 평균효율관리기자재 새로 신설된 법규로 총중량 3.5톤미만 자동차, 승차인원 15인승 이하/총중량 3.5톤 미만 승합자동차, 3.5톤 미만 화물자동차 등을 의미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63 | 증기량 구하기 | ahn** | 2023-07-11 | 10 |
2013년 1회 8번 문제와 2014년 1회 10번 가 동일한 문제처럼 보이는데 풀이는 많이 상이합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
50465 | [답변] 증기량 구하기 | 김계호 교수 | 2023-07-12 | 10 |
답변입니다) 1. 2013년 1회 8번 이 문제는 20도씨 물 과 100도씨 증기를 혼합해서 70도씨의 온수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온도가 주어진 경우 물은 (70-20)도씨=50도씨의 온도 상승을 얻었고 증기는 (100-30)도씨의 온도 하락이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얻은 열량 = 증기가 잃은 열량 으로 푼 것입니다 식은 물이 얻은 현열 = 증기가 잃은 현열 + 증기의 손실 잠열 로 계산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증기는 100도씨 증기에서 100도씨 물로 바뀌는 잠열과 100도씨 물이 70도씨 물로 바꾸는 과정) 2. 2014년 1회 10번 이 문제는 각각의 온도가 주어진 것이 아니라 과열증기의 kg당 보유열량이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15도씨의 보유열량 + 과열증기 보유열량 = 40도씨의 온수의 보유열량 으로 푼 것입니다 (전의 젠체 보유열량 = 후의 보유 열량) 3. 질의하신 것 처럼 2013년 1회 8번 문제도 2014년 1회 10번 처럼 전의 보유 열량 = 후의 보유 열량 으로 풀어도 답은 동일하게 나옵니다 3000x4.2x20+G(4.2x100+2257) = (3000+G)x 4.2x70 G= 264.3726 kg = 264.3726 kg x 9.8N/kg = 2590.85 N 4. 따라서 문제를 푸는 과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자신에게 맞는 풀이를 선택하여 풀면 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남은 시간 무더위에 건강 챙기면서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웝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57 | 단위질문 | tkw********* | 2023-07-08 | 18 |
이거 단위 왜 mm로 나오는지 알수있을까요 첨부파일 확인부탁드립니다. |
||||
50460 | [답변] 단위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7-09 | 13 |
답변입니다) 1. 파형 노통의 최소두께 공식 t = PD/C = 11(kg/cm^2)x1000(mm)/1100을 그대로 계산하면 C가 상수이기 때문에 mm 가 나오지 않습니다 2. 이 식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5-183호에 있는 상수 자체가 실험 값으로 외워야 하는 공식입니다. 3. 하지만, 굳이 파형 노통의 최소 두께 공식을 보일러 내압 동체 두께와 비교해보면 상수(C) 1100 의 값이 어떻게 나온 것인지 충분히 유추할 수 있습니다 4. 보일러 내압 동체 두께(t1)= PDS/2x인장강도x효율 + 최소두께 입니다 여기서는 인장강도의 단위가 kg/mm^2로 보통 35kg/mm^2정도(=3500cm^2)로 주어지고 이음효율 0.7정도, 안전율 4정도로 주어져 설계되기 때문에 두 식을 비교해보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합니다 5. 파형 노통의 두께(t)= PD/C 내압 동체의 두께(t1)= PDS/2x인장강도x효율 + 최소두께 에서 위 두 식을 비교해보면 C= 11(kg/cm^2)x1000(mm)x4/2x3500(kg/cm^2)x0.7 = 11(kg/cm^2)x1000(mm)/1225(kg/cm^2) 이 나오게 됩니다 (위에서 주어진 C=PD/1100 과 비슷하게 C=PD/1225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 다시말해, 위 상수의 값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온 상수값입니다 따라서, 이 결과식을 정리해서 외워 두시길 권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55 | 랭킨사이클 기출문제 질문있습니다. | z26**** | 2023-07-08 | 8 |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랭킨 사이클 문제를 정리하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이해가 잘 안돼서 질문을 올립니다. 2018년도 4회 4번문제의 랭킨사이클 효율 문제 (공식)풀이와 2022년도 4회 17번 문제의 랭킨사이클 효율 (공식)의 차이가 무엇인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 2022년 4회 17번 효율을 2018년도 4회 4번 문제의 공식으로 대입하면 안되나요? - 같은 유형의 문제로 보이는데, 그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
||||
50456 | [답변] 랭킨사이클 기출문제 질문있습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7-08 | 8 |
답변입니다) 1. 랭킨사이클의 효율은 보통 두 가지로 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터빈의 효율이 주어진다면 실제효율을 구할 수 있어 3가지로 구할 수 있습니다) 2. 랭킨사이클의 과정은 (급수)펌프 - 보일러 - 터빈 - 응축기 의 사이클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급수펌프의 일은 터빈, 보일러 등에서 하는 일보다 무시할 정도로 작습니다 3. 따라서 랭킨사이클 효율은 1) (급수)펌프 일을 무시한 경우 2) (급수)펌프 일을 고려한 경우로 나누어 효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4. 시험에서 급수 펌프일을 고려하라 또는 무시하고 계산하라는 특별한 업급이 없으면 어느 공식이든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두 개의 값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5. 하지만 펌프일을 고려하는 경우와 펌프일을 무시하는 경우의 식은 다르므로 펌프일을 고려한 것인지 또는 무시한 식인지 정확히 제시해서 거기에 맞는 공식으로 풀어야 합니다 6. 여기서는 2018년 4회 4번은 펌프일을 무시한 경우로 풀었고 2022년 4회 17번은 펌프일을 고려하여 푼 것입니다 7.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