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9218 열설비설계 kim**** 2022-03-09 6
열설비설계의 보일러안전관리 핵심예상문제 96번과 관련
1번 지문에 연료가스의 유출속도가 너무빠르면 과다한 연료가 공급되므로
역화의 원인이 될수있는데 정답은 역화의 원인이 아니라고 했는데
검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220 [답변] 열설비설계 김계호 교수 2022-03-09 7
 답변입니다)

  1. 이 문제는 필기시험뿐만 아니라 필답형 시험에서도 아주 비중있게 출제 되는 문제입니다.

  2, 우선 일반적인 역화의 원인으로는
     1) 버너과열
     2) 가스압이 낮아지는 경우(가스연료인 경우)
     3) 1차공기 흡인이 과다한 경우
     4) 압입통풍이 과다한 경우
     5) 흡입통풍이 너무 적은 경우
     6) 프리퍼지가 부족한 경우...... 가 있습니다

  3. 그런데 질의하신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연소할 때 정상연소가 아닌 이상연소인 경우에
     역화와 선화(=리프팅)가 있습니다

     1) 역화(back fire) : 불꽃이 거꾸로 버너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
         연소속도 〉유출속도(=분출속도)

     2) 선화(리프팅, lifting) : 불꽃이 버너에서 연소하지 않고 부상하여 공간에서 연소하는 현상
         유출속도 〉연소속도 

  4. 따라서 질의하신 내용 중에서 연료의 유출속도가 너무 빠르면 버너에서 연소치 않고 속도가 빠른 만큼
     버너에서 멀리 떨어져 연소하게 되는 리프팅현상(선화)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유출속도가 연소속도에 비해 낮다면 역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역화와 선화(리프팅)은 정반대의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5.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이 문제는 무척 중요한 문제로 2차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니 꼭 정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217 에너지관리기사 필기(2022년 1회) A형 62번 문제에 대한 이의신청 제기에 관한 건 김계호 교수 2022-03-08 13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2022년 1회) A형 62번 문제에대한 가답안 이의신청을
 다른 사이트에서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62.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 검사대상기기에 대한 검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계속사용검사                 2) 개방검사
     3) 개조검사                     4) 설치장소 변경검사
  
 가답안 : 2번

 
  여기서 이의신청 한 수험생들은 개방검사도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2번도 맞으므로
  모두 정답에 해당된다고 이의신청을 한 내용입니다

  위 문제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 검사의 종류에는 개방검사라는 용어는 없습니다

  2. 계속사용검사라는 것은 산업현장에서 보일러를 가동시 1년마다 정기적으로 
     안전검사를 받아 해당 보일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입니다(한국에너지공단에서 실시)

  3. 보통 산업현장에는 복수의 보일러를 설치하여 가동하는데 이 경우 검사시에는
     가동치 않는 보일러를 검사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보일러의 가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보일러의 안전밸브에서 부터 모든 기기를 분해하여 펼쳐놓은 상태에서
     이상여부를 검사하고 실제로 보일러 내부까지 검사하는 것이 개방검사입니다.

  4. 만약 보일러가 1대만 설치가동중인 경우 제품생산으로 인하여 검사기일에 보일러를 정지한 상태에서
     검사를 받을수 없기 때문에 이 경우 사용중 검사를 받는 것입니다.

  5. 따라서 개방검사는 검사의 종류가 아니라 계속사용검사를 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는 것입니다.

  6. 따라서 이의를 제기 하더라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입니다.

  7. 모든 것의 기준은 법규에 정해진 내용대로 적용해야 하는 것입니다

  필기 시험을 준비하시는 수강생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번 2022년 1회 문제 풀이는 이번주 촬영하여 즉시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210 교수님 계산기 사용법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kdw**** 2022-03-07 7
교수님 계산기 사용법이 어디에 있는지 못 찾겠습니다.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212 [답변] 교수님 계산기 사용법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김계호 교수 2022-03-07 25
 답변입니다)
  1. 계산기 사용법은 별도 강의에 있는데
     사무실에 얘기해서 에너지 강의를 듣는 분들에게 무료로
     열어 드리도록 했습니다.
     만약 조치가 늦어 지면 사무실에 연락하시면 됩니다

  2. 곧 조치해 드릴겁니다

  3. 강의 계산기는 casio fx-570ES PLUS 시리즈 입니다.

  4.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강의를 듣고도 이해가 안되시면 별도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214   [답변] 교수님 계산기 사용법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kdw**** 2022-03-08 12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201 실기 영상 다봐야되요??? akg***** 2022-03-06 13
실기이론 과년도문제풀이는 보는거맞는것같은데 동영상 문제풀이도 봐야되나요?

22년대비 500문제는 과년도랑 같은문제하나도없는 예상문제인가요?
답글 수정 삭제
49202 [답변] 실기 영상 다봐야되요??? 김계호 교수 2022-03-06 20
 답변입니다)
  조금 전 비슷한 내용의 질의가 있어 답변한 내용이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면 되겠습니다.
  공부해야 할 양이 많으면
  본문 - 기출문제 순으로 공부하시고 동영상 문제는 그림의 내용을 물어보는 것은
  제외하고 계산문제나 단답형 문제는 언제든지 필답형으로 출제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시간이 충분하니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공부 계획을 잡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500문제는 시험이 모두 필답형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아주 지엽적인 문제까지
  출제될 수 있어 자주 출제됐던문제에서 부터 나올 수 있는 문제 심지어 필기 과목 중
   에서도 정리하여 만든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필답형 시험에서 필기때 공부했던 
   내용이 출제 됐습니다. 
   필답형 시험문제는 주관식 문제이기 때문에 한번에 끄쳐서는 안되고 몇 번 반복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따라서 위 순서대로 하시고 가급적 500문제도 한번 정리하는 시간이
   있어야 합니다

   -아래 내용은 비슷한 내용으로 답변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 필답형 시험은 이론+기출문제+시간적 여유가 되면 동영상 부분까지 권하는데,
  업무와 병행하시는 분들은 그렇게 공부 할 시간적 여유가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좀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차선의 방법을  순서대로 다음과 같이 권해 드리니 보시고
  유용할 수 있는 시간을 파악하셔서 준비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1. 필답형 이론은 철저히 공부해야 합니다
      (공부해야 할 양이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2. 기출문제는 모두 풀어 보셔야 합니다
      (시간이 없으면 동영상 부분은 모르는 부분만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3. 동영상 문제 중에서 사진을 보고 푸는 문제는 제외해도 되지만 
     동영상 중에서 계산문제 및 단답형 문제 등은 공부하시는 게 좋지만 시간이 없으면 이부분은 
     우선 순위에서 맨 나중에 잡고 계획을 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따라서 위 1 + 2은 꼭 공부해야 하고 기출문제는  몇 번 본다는 마음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특히 시험방식이 전체 필답형으로 변경되면서 필기시험에서 다뤘던 문제도 2차시험에서
     출제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21년도 문제를 다룰때 출제됐던 문제를 파악하면 향후 필기시험에서 어떤 것이 필답형에서 나올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것으로 판단합니다)

  5. 참고로 기출문제를 풀다보면 몇번씩 반복되어 출제 되는 문제는 꼭 풀이과정을 익혀 두셔야 합니다

  6. 필답형은 계산문제가 당락을 좌우하므로 교재의 풀이과정을 보고 이해했다고 해서 완벽한 것이 아니고
      혼자서 그 문제를 자력으로 풀어 낼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7. 시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므로 지금부터 잘 계획을 세워서 시험을 준비하시면 충분히 합격하실 것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84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kim**** 2022-03-04 6
열설비재료및 관계법규의 핵심예상문제 61번에서
법에는 폐기한날로부터 15일이내에 신고하라고 되어있는데
교수님 강의에는 폐기15일전까지라고 하시는데
확인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185 [답변]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김계호 교수 2022-03-05 6
답변입니다)

  1. 검사대상기기를 폐기한 경우에는 폐기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폐기신고서를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따라서 61번의 답은 질의하신 것 처럼 1번이 아니라 3번이 맞습니다

  3. (교재의 풀이 내용이 맞습니다)

  4. 동영상은 빠른 시일 내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76 과년도 문제풀이 관련(2019. 4회 열설비설계 96번) ssj**** 2022-02-27 9
공기예열기 사용시 나타나는 특징으로 틀린것은? 문제에서

1. 과잉공기가 많아진다. (공기예열기를 사용하면 흡입측 으로 들어가는 공기가 예열된 상태로 들어가기 때문에 적은공기로 연소가능하므로 공기가 줄어든다)
선택지 1번은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습니다. 이게맞을까요??

2. 가스온도 저하에 따라 저온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선택지 2번은 공기예열기를 사용하는데 왜 배기가스 온도가 저하가 되는건가요??

4. 질소산화물에 의한 대기오염의 우려가 있다.(공기예열기로 예열된 공기에 의하여 고온연소가 발생하므로 질소산화물에 의한 대기오염 우려)
선택지 4번은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습니다. 이게 맞을까요??
답글 수정 삭제
49177 [답변] 과년도 문제풀이 관련(2019. 4회 열설비설계 96번) 김계호 교수 2022-02-27 10
 답변입니다)

  1. 질문 내용 중 1번은 완벽하게 이해하셨습니다.
     공기예열기의 목적이 차가운 공기를 예열하여 그만큼 낮은 공기비로 완전연소가 
     가능토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의하신 내용대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2. 공기예열기는 연도를 통해 나가는 뜨거운 배기가스 열을 회수하여 차가운 공기를 
     예열하는 폐열회수 장치입니다.
     일종의 열교환기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기예열기의 공기는 차가운 공기가 데워지는 것 처럼 연도를 통해 나가는 배기가스는 
     뜨거운 배기가스온도(보일러 용량 및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약 250도씨 정도)는 차가운
     공기와 열교환 되면서 온도가 낮아 지게됩니다.
     그런데 250도 씨의 온도가 열교환되어 150도씨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연료속의 황(S)
     성분에 의해 저온부식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온도구간은 피해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의 하신 2번의 내용은 위 내용으로 대신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3. 공기예열기로 인해 데워진 연소용 공기가 버너로 투입되면 연소효율이 증대하게 됩니다.
     이는 결국 잘 혼합된 연소용 공기 만큼 연료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공기량+연료량 = 연소가스량입니다.
     연소가스량이 증가하는 만큼 배기가스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배기가스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그만큼 대기오염 물질이 많이 배출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이 증가되어 대기오염의 우려가 발생하게 됩니다.
     맨 마지막 질의 내용에서 고온연소에 의해서 질소산화물 발생보다는 연소가스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만큼 질소산화물이 증가 된다는 것이 맞습니다

  4. 3번에서 혹시 이런 의문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공기량과 연료량이 증가하면 효율이 낮아 지는 것 아닌가?
     공기예열기를 설치하게 되면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되어 공기량과 연료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훨씬 더 많은 증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어 효율은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73 게산식 jsl******* 2022-02-24 17
미안합니다.
과년도문제  쪽741 문제42
측정저항(R2)=R1(1+a(t2-t1))
160=80*(1+0.002(t2-0))



t2=500도씨
티2 되기까지 수식 알려두셔요
답글 수정 삭제
49174 [답변] 게산식 김계호 교수 2022-02-25 21
 
  먼저, 앞에서 풀어 드린 대로 하니까 답이 나왔습니까?

  
  윗 질의에 대한 계산과정입니다)

  160  ▷  ALPHA  ▷  = (아래 검은색 = 이 아니라, 위의 붉은색 = )   ▷ 80 X ( 1 + 0.002 (    
  
  ▷ ALPHA  ▷  X  (붉은색X임)    ▷  - 0     ▷  )     ▷  )   (보시는 것처럼  ) )  를 두번해야 함)

        
  ▷ SHIFT    ▷ SOLVE    ▷  =   (맨 밑의 검은색 = 임)


  그렇게 하고난 후 기다리면 X=500 이 나옵니다.  그것이 t2 값이 되는 것입니다

   
   (항상 계산기에서 방정식의 근을 구할 때 맨 마지막에는 위에서 보는 것 처럼

     ▷ SHIFT    ▷ SOLVE    ▷  =    의 과정을 거친 후 잠시 기다리면 답이 나옵니다


    천천히 몇 번 해보시고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어렵더라도 포기하지 마시고 해보십시오.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69 문의 드립니다. jsl******* 2022-02-24 16
과년도 문제풀이 
690쪽 문제 31 
풀이 ; 교축과정은 등엔탈피 과정(=단열과정)이다. 에서  교수님의 강의에서는 등엔트로피과정이라 했습니다. 엔탈피입니까,  엔트로피가 맞나요?
믄제 31 답이 2번이 정답입니까. 문제32 동영상강의때 등 엔트로피 = 단열과정 = 교축과정 이라 했습니다.
문제 31번 , 문제32번 설명 부택드립니다.

714쪽 문제 32번 , 729쪽 문제95번 계산기 조작벙법 알려주셔요.

나이66세에 공부하려니 매우 어렵습니다, 미안, 죄송합니다..

*계산문제에서 공식을 암기하여도 어느공식을 대입하는지 몰라서 어리벙벙할때가 많습니다.
 에너지 관리기사 책자에 나오는 공식들이 정리한 기사 계산공식를 공부초보자들이 볼수있는 곳은 없나요.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