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9017 | [답변] 어네지 관리기사 2017년 과년도 2회차 48번 바이메탈온도계 틀린것. | 김계호 교수 | 2021-12-06 | 1857 |
답변입니다) 1. 이 문제는 얼마 전에 동일 내용으로 질의가 있어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새로 촬영한 바 있습니다 2. 문제 내용 48. 바이메탈 온도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구조가 간단하다. ② 온도변화에 대하여 응답이 빠르다. ③ 오래 사용 시 히스테리시스 오차가 발생한다. ④ 온도자동 조절이나 온도 보상장치에 이용된다. 풀이) 바이메탈 온도계의 특징 1) 온도변화에 대하여 응답이 신속하지 못하다 2)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다 3)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4) 정확도가 낮은 편이다 5) 부가적인 전기적인 회로가 필요 없다 6) 히스테리시스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7) 열팽창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금속판을 붙여 온도자동 조절이나 온도보상장치에 사용한다 8) 사용온도 범위는 ?50~500℃ 정도이다 9) 작용하는 힘이 크다 답 ② 3. 새로 촬영된 동영상을 확인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그리고 새로 발행된 교재에는 이런 내용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위 내용이 수정된 풀이 내용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014 | 에너지관리 산업기사 동영상 출제문제 | coc****** | 2021-12-04 | 1856 |
1. 모타 결선 방식시 장점 3가지 3선 결선(6가닥 아님) 380 V 2. 증류탑의 원리-비등점의 차 3.보일러 종류 가) 보일러 종류 - 노통 연관식보일러 나) 연료의 종류 - 가스 추정 배관색깔(연한 회백색 - 최근 엘피지 통 색깔과 동일)계량기로 추정되는 계기가 붉은색임 다) 버너 앞에 있는 부속명칭 - 전자변(전자밸브) 4.자동제어 설치시 장점 3가지를 쓰시오(설계시 주의사항이 아님) 5. 열교환기 종류 가) 판형 열교환기 나) 쉘&튜브형 열교환기 또는 히트파이프라고 하시는 분 있음 - 사각통 안에 파이프외부엔 핀이 붙어있는 타입 6.상드FJA 위에 있는 배관 - 증기배관 7.냉동기를 보고 답하시요 가) 냉동기의 종류 - 터보형 냉동기 나정격출력은 KW인가 COP 3.7 정격출력 100KW 과년도 출제문제에서 단위만 Kcal에서 KW변경 8.보온제의 명칭 - 세라믹 울 9증기트랩의 종류를 묻는 질문 및 작동원리 가)방열기(라지에타 말단에 설치되어 있음 나)작동원리 10.압력배관 기호 물음(일부분 예시시를 줌) 가)SPP 나)SPPS 다)SPPH 두문제는 쉬운 문제인데 생각이 안납니다 |
||||
49015 | [답변] 에너지관리 산업기사 동영상 출제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2-04 | 1856 |
답변입니다) 감사합니다.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003 | 2021년 4회 실기 엔트로피 풀이에서....모르는게 있어요... | yng**** | 2021-11-20 | 1858 |
문제) 어떤 기체 10kg이 PV= 일정인 상태에서, 초기온도 350℃ 상태에서 900KJ의 일을 했을 때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몇 kJ/K인지 구하시오? (단, 기체의 정적비열 0.72 kJ/kg·K, 비열비 1.4, 기체상수 0.26kJ/kg·K 이다) 계산과정) G = 10kg, T2 = 350℃ + 273 = 623K Wa = 1/n-1 * G * (P1V1-P2V2) = 1/n-1 * G* R* (T1-T2) 900= 1/1.3-1 * 10* 0.26* (623-T2) T2 = 519.15K dS = G*n-k/n-1 * Cv ln(T2/T1) = 10(kg) 1.3-1.4/1.3-1 ×0.72 x kn(519.15/623) = 0.4376 kJ/K 위 풀이에서 n=1.3 이 어떻게 나오는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Cp= R+ Cv 에서 Cp= 0.26+0.72=0.98 아 나오고 Cp=k*Cv=1.4*0.72=1.008 로 Cp가 서로 다르게 나오는데요? |
||||
49005 | [답변] 2021년 4회 실기 엔트로피 풀이에서....모르는게 있어요... | 김계호 교수 | 2021-11-20 | 1862 |
답변입니다) 1. 폴리트로픽변화에서는 n=1.3으로 주어졌습니다. 문제 지문에서 PV^1.3 = 일정으로 주어졌습니다. PV^n = C의 기본식에서 PV^1.3이므로 n=1.3 이 됩니다. 2. Cp 가 비열비*정적비열 = 1.002 Cp = 기체상수+정적비열 = 0.98 나와서 값이 틀리다고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기체상수, 정적비열 모두 소수점 이하에서 반올림하는 과정에서 얻은 값이기 때문에 만약 시험에서 정압비열을 구할때 어떤 방식이든 상관없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002 | 실기p202 #239번 열정산에서....모르는 부분이 있어요... | yng**** | 2021-11-20 | 1857 |
실기p202 #239번 열정산에서 1. 이론공기량=12.38*(저위발열량-1100)/10000 = 10.7 Nm^3/kg 이 어떻게 유도되는지 동영상에 자세한 설명이 없으셔서... 12.38 과 (저위발열량-1100)/10000 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2. Gow= 15.75*(저위발열량-1100)/10000 - 2.18 = 11.44 Nm^3/kg 도 어떻게 나오는지 외우라고만 하시고...실험치 인가요? 15.75 와 2.18 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
49004 | [답변] 실기p202 #239번 열정산에서....모르는 부분이 있어요... | 김계호 교수 | 2021-11-20 | 1858 |
답변입니다) 1. 연소공학을 제한 된 동영상을 통해서 전부 전달한다는 것은 어렵습니다. 2. 질의하신 이론공기량은 우리가 공부하는 공식 중에서 Durong 등의 공식을 이용하여 푸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워낙 중요한 부분이고 시험에 주로 출제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세히 공부한 것입니다 3. 질의하신 궁금한 부분은 열정산에 있어서 실험치 값입니다. 4. 이외에도 똑같은 조건을 가지고 Rosin 식을 가지고도 풀수 있는 것입니다. Rosin식으로 p202의 239번을 풀자면 Ao = 0.85*Hl/1000 + 2 = 0.85x9750/1000 + 2 = 10.29 Nm^3/kg 이 나옵니다. 이렇게 풀어도 교재에서 푼것과 값의 차이는 있지만 Rosin식 역시 정답이 됩니다 5. p203의 240번 처럼 원소 분석이 주어진 경우에는 공부한 공식으로 풀면 되지만 그건 것이 아닌 경우에는 주어진 실험치 가지고 풀면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000 | 플로우노즐 유량도 벤츄리와 마찬가지로 연속의 법칙,베르누이정리로 푸는거죠? | yng**** | 2021-11-20 | 1857 |
플로우노즐 유량도 벤츄리와 마찬가지로 연속의 법칙,베르누이정리로 푸는거죠? 오리피스 유량공식 Q = A *1/루트(1-m^2)* 루트(2g델타P/감마) 는 오리피스에만 적용하는 공식이죠? |
||||
49001 | [답변] 플로우노즐 유량도 벤츄리와 마찬가지로 연속의 법칙,베르누이정리로 푸는거죠? | 김계호 교수 | 2021-11-20 | 1855 |
답변입니다) 1. 플로우노즐, 벤튜리, 오리피스 모두 차압식 유량계입니다 2. 푸는 방식은 연속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로 풀 수 있는 것입니다. 3. 따라서 푸는 과정은 다 같습니다. 4. 다만, 오리피스인 경우 교축의 정도가 커서 보통 전후의 압력차가 주어지기 때문에 개구비를 통해서 푸는 공식으로 시험이 출제가 되고 또 그렇게 풀고 있는 것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96 | 벤튜리 유량계산 정리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11-19 | 1856 |
벤튜리에서 유량을 계산하는 문제 중에서 높이차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는 게 맞습니다. 따라서 그에 따른 문제 풀이를 상세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높이차에 따른 압력차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비슷한 유형의 연습문제를 함께 실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92 | 에너지법 보충설명 (개정분) 및 2020, 2021 수업하신 내용 | zam*** | 2021-11-18 | 1856 |
에너지법 보충설명 (개정분) 및 2020, 2021 수업하신 내용 자료 시험공부에 참고할수있도록 메일로 보내주세요 [email protected] |
||||
48994 | [답변] 에너지법 보충설명 (개정분) 및 2020, 2021 수업하신 내용 | las****** | 2021-11-18 | 1856 |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지금 바로 전송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48984 | 4회 시험 문의 | kju******** | 2021-11-17 | 1855 |
관류식 보일러가 답인데 관류 수관 보일러 라고 적었습니다. 틀린 답인가요? 수관식 보일러에 자연순환식 수관보일러, 강제순환식 수관보일러, 관류식 수관보일러 이렇게 공부해놔서 저렇게 적었는데 강사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
||||
48986 | [답변] 4회 시험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11-17 | 1857 |
답변입니다) 1. 사실 관류 보일러는 수관식 보일러의 한 범주에 속합니다. 드럼이 없이 관안에 물이 들어간다는 점에서는 같습니다. 2. 그런데 제시된 문제 중에서 벤슨 보일러나 슐처 보일러가 언급이 되면 관류보일러가 맞습니다. 3. 답안지를 관류 수관식 보일러라고 썼다면 그건 채점관의 재량에 따라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볼 때에는 글자 그대로 수험생은 완벽한 용어를 구사하기는 힘들다는 것을 알기에 어느 정도 참작이 되지 않을까요? 수관식 보일러라고 썼다면 그건 무조건 틀리지만 관류라는 단어가 들어 갔으니 한번 기다려 보시죠?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83 | 에너지 관련 법규 p661~ 핵심예상문제1번 ~강의 | zam*** | 2021-11-17 | 1855 |
강의 후반부 1시간 이후 강의 내용은 새로 추가 된 것 같은데 책에 내용이 없습니다. 해당내용 문제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