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968 | [답변] 굴뚝높이 높이 계산시 단위 관련 문의(동영상 2020년 1회차 11번 문제 단위관련) | 김계호 교수 | 2021-11-15 | 1855 |
답변입니다) 1. 계산과정에서 단위는 쓸 필요 없습니다. 2. 공식에서 배기가스 온도를 잘못 넣으신 것 같습니다. 3. 배기가스 온도를 원래 값으로 넣고 35.11kg/m^2 가 나왔다면 그 값은 단위 환산을 하게 되면 35.11mmH2O 또는 35.11mmAq가 되는 것입니다 4. 1mmAq = 1mmH2O = 1kg/m^2 입니다 5. 왜냐하면 P = r h = 1000kg/m^3 x 0.001m = 1kg/m^2 이 되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78 | [답변] 굴뚝높이 높이 계산시 단위 관련 문의(동영상 2020년 1회차 11번 문제 단위관련) | coc****** | 2021-11-16 | 1855 |
1.계산과정에 단위를 쓸 필요가 없다고 말씀하셨는데 실제 답안지 작성 과정 예제문제에서는 단위를 쓰라고 나옵니다 예시 2cm * 2cm = 4cm2 |
||||
48979 | [답변] 굴뚝높이 높이 계산시 단위 관련 문의(동영상 2020년 1회차 11번 문제 단위관련) | 김계호 교수 | 2021-11-16 | 1855 |
답변입니다) 1. 단위는 답을 쓸 때에는 써야합니다. 하지만 계산과정에는쓸 필요가 없습니다. 2. 예를들어 문제 지문에서 ~는 몇 MPa인가? 라고하면 굳이 단위를 쓰지 않아도 되는데 그래도 단위를 쓰도록 하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3. 또한, 계산과정에서도 단위를 쓰지 않아 마음이 불편하다면 편하게 단위를 쓰는 것도 괜찮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82 | [답변] 굴뚝높이 높이 계산시 단위 관련 문의(동영상 2020년 1회차 11번 문제 단위관련) | coc****** | 2021-11-17 | 1855 |
감사합니다 | ||||
48963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연돌/굴뚝 높이 계산문제 및 풀이 | 김계호 교수 | 2021-11-15 | 1858 |
-문제 중 내용이 잘못된 것이 있다면 알려 주십시오- 문제) 배기가스 평균온도가 90℃, 비중량이 1.423kgf/m이고, 외기온도가 10℃, 비중량 이 1.295kgf/m인 경우 통풍력이 2.5mmAq 일 때 연돌의 높이는 몇 m인지 계산 하시오. (단, 실제통풍력은 이론통풍력의 80%에 해당된다) 참고) 1mmHO = 1mmAq = 1kg/m^2 계산과정) Z = 273 H ×(ra/273+ta - rg/273+tg) x k H = Z / 273x(ra/273+ta - rg/273+tg )x k = 2.5/273x(1.295/273+10 - 1.423/273+90 )x0.8 = 17.453m 답) 17.45m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69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연돌/굴뚝 높이 계산문제 및 풀이 | neu***** | 2021-11-15 | 1855 |
풀이과정 감사합니다 교수님 확실히 문구중에 실제통풍력은 이론통풍력의 80%에 해당된다 그리고 실제 연돌의 높이를 구하시오 라는 문구까지 있었던걸로 기억됩니다 제가 접근한 방법은 H = 2.5 * 0.8 / 273*(1.295/273+10 - 1.423/273+90) = 11.17 m 이렇게 풀이 하면 오답일까요 ㅠ ㅠ 이문제를 틀리면 희망이 없는데 .... 멘붕입니다 ㅠㅠ; |
||||
48972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연돌/굴뚝 높이 계산문제 및 풀이 | 김계호 교수 | 2021-11-15 | 1855 |
답변입니다) 1. 풀이 과정 중 0.8이 분모에 있어야 되는데 분자에 가 있네요? 2. 식은 맞게 잘 세웠는데, 이항하는 과정에서 착각을 하신 것 같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65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연돌/굴뚝 높이 계산문제 및 풀이 | yng**** | 2021-11-15 | 1856 |
단, 실제통풍력은 이론통풍력의 80%에 해당된다 라는 문구는 못본것같은데욘? | ||||
4897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연돌/굴뚝 높이 계산문제 및 풀이 | 122**** | 2021-11-15 | 1855 |
실제통풍력은 이론통풍력의 80%에 해당된다 라는 문구는 정확히 있었읍니다 | ||||
48966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연돌/굴뚝 높이 계산문제 및 풀이 | 김계호 교수 | 2021-11-15 | 1855 |
답변입니다) 시험보고 나 후 기억력에 한계가 있다보니 차이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궁금해하는 풀이를 계산하다보니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만약 80%가 없다면 빼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참고) 실제통풍력은 이론통풍력의 80%라는 언급이 없었다면 제외하고 계산하면 : 13.96m 가 나오네요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71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연돌/굴뚝 높이 계산문제 및 풀이 | dud***** | 2021-11-15 | 1856 |
와 저는 못봤는데.. 있었다면 틀렸겠네요 ㅠㅠ |
||||
48961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 소형온수보일러에 관한 문제 및 풀이 | 김계호 교수 | 2021-11-15 | 1859 |
사실 이 문제는 필기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인데 이번에 필답형에 나왔습니다. 앞으로 실기시험을 준비할 때 필기쪽 문제들도 함께 공부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바뀐 법규 중 화목보일러까지 정리해서 올립니다. (참고로 이와 관련한 내용은 실기교재에도 실려 있습니다 : P28) 14. 다음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넣으시오 소형 온수보일러는 전열면적 ( 가 )m^2, 최고사용압력 ( 나 )MPa 이하의 온수를 발생하는 것이고, 구멍탄용 온수보일러는 연탄을 연료로 사용하여 온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 다 )만 해당한다. 축열식 전기보일러는 정격 소비전력이 ( 라 )KW 이하이고, 최고사용압력이 ( 마 )MPa이하인 것 을 말한다 참고) 분류 1) 소형 온수보일러 : 14m^2이하×0.35MPa이하 2) 소용량 강철제보일러 : 5m^2이하×0.35MPa이하 3) 소용량 주철제보일러 : 5m^2이하×0.1MPa이하 4) 축열식 전기보일러 : 30kw이하×0.35MPa이하 5) 구멍탄용 온수보일러 : 연탄을 연료로 사용하여 온수발생(금속제만 해당) 6) 가정용 화목보일러 : 화목 등 목재연료를 사용하여 90℃ 이하의 난방수 또는 65℃ 이하의 온수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표시 난방출력이 70KW 이하로서 옥외에 설치하는 것 답) 가 : 14 나 : 0.35 다 : 금속제 라 : 30 마 : 0.35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58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1년 4회차 엔트로피 관련 문제 풀이 | 김계호 교수 | 2021-11-15 | 1857 |
-혹시 복원된 문제가 실제 문제와 차이가 있으면 알려 주십시오- 문제) 어떤 기체 10kg이 PV= 일정인 상태에서, 초기온도 350℃ 상태에서 900KJ의 일을 했을 때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몇 kJ/K인지 구하시오? (단, 기체의 정적비열 0.72 kJ/kg·K, 비열비 1.4, 기체상수 0.26kJ/kg·K 이다) 계산과정) G = 10kg, T2 = 350℃ + 273 = 623K Wa = 1/n-1 * G * (P1V1-P2V2) = 1/n-1 * G* R* (T1-T2) 900= 1/1.3-1 * 10* 0.26* (623-T2) T2 = 519.15K dS = G*n-k/n-1 * Cv ln(T2/T1) = 10(kg) 1.3-1.4/1.3-1 ×0.72 x kn(519.15/623) = 0.4376 kJ/K 답) 0.44 kJ/K -복원되는대로 풀이과정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56 | 과년도 필기 2019년 2회 19번: 5.6H+0.7O | yng**** | 2021-11-15 | 1855 |
동영상을 보지를 못했습니다.죄송합니다 과년도 필기 2019년 2회 19번: Gw=mAo+5.6H+0.7O+0.8N+1.244W 에서 0.7=22.4/32 는 알겠는데요 1. 0.7O 만큼 산소가 추가되는 이유 2. 5.6H 에서 5.6은 어떻게 나오며 5.6H 가 추가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
48960 | [답변] 과년도 필기 2019년 2회 19번: 5.6H+0.7O | 김계호 교수 | 2021-11-15 | 1858 |
답변입니다) 1. 실제습연소 가스량(Gw)이란 연소하고 남은 모든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2. 0.7S 는 황을 의미합니다. 다시말해 S은 가연성분 입니다. 다시말해 연소하게 되면 발열량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연소하게 되면 당연히 산소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렇게되면 그만큼 연소가스량으로 배출되겠죠? 3. 필기 교재 풀이 중 Gd = (m-0.21)Ao + 1.867C + 0.7S + 0.8N2에서 Ao 대신 8.89C + 26.67)H-O/8) + 3.33S를 대입해서 풀면 나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