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878 | [답변] 2021년 1회 10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1-08 | 1865 |
답변입니다) 1. 비열의 정의는 어떤 물질 1kg을 1도C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을 의미합니다 2. 그런데 지난번에도 언급했듯이, 1도C를 높인다는 의미는 1K높인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온도차를 계산할 때에는 의미가 같습니다. 3. 100도C = 373K입니다. 하지만 100도C에서 200도C로 변하면 온도차는 100도C가 되지만 이 것 역시 100K가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200도C(473K) - 100도C(373K) = 100도C(100K) 가 되기 때문입니다. 4. 그러므로 이를 단위로 만들면 kcal/kg*도C, kJ/kg*도C, kJ/kg*K 모두 가능합니다 5. 물론 표준단위로 kJ을 쓰면 온도 역시 표준단위인 K로 쓰는게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시험에서 kJ/kg*도C로 나왔다고 해서 문제가 틀렸다고 할 수 없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74 |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han****** | 2021-11-07 | 1855 |
2016년 2회 문제11번 문제에서 573/300=(P2/0.1)1.3-1/1.3 에서 P2=1.65mpa가 나오기전에 세부적으로 한번더 풀이하는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막바로 답이 나오니 중간과정이 어떻게해서 답이나왔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문제에서 비열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 2013년 1회 6번 문제에서는 물의 비열을 1로 해서 문제를 풀었고 2016년 2회 12번 문제에서는 물의 비열을 4.18로 해서 문제를 풀었는데 왜 물의 비열이 그때그때 틀리게 적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
48875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6 |
답변입니다) 1. 강의 중에서도 자주 강조했지만 이런 계산식은 풀게 되면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그래서 여기까지 식을 세워 놓고 간단히 방정식으로 풀어야 합니다. 중간과정이 없는 것이 아니라 방정식으로 근을 구한 것입니다. 2. 풀이 과정이 궁금하다고 하시니 차근차근 과정을 풀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시험장에서는 시간상 제약이 있으니 꼭 방정식으로 놓고 풀어야 합니다) 3. 573/300 = (P2/0.1)^(0.3/1.3) (573/300)^(0.3/1.3) = P2/0.1 (P2쪽에지수를 1로 만들기 위해 양변에 역수 1.3/0.3을 곱한다) 1.91^(1.3/0.3) = P2/0.1 P2 = 0.1 X 1.91^(1.3/0.3) = 0.1 X 1.91^4.33 = 1.647 MPa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68 | 2014년 3회 9번(P529) 중간지점온도 | yng**** | 2021-11-07 | 1856 |
2014년 3회 9번(P529) 중간지점온도 계산시 중간지점과 바깥지름사이를 고려해야 더 정확한 온도가 나오는 것 아닌가요? | ||||
48872 | [답변] 2014년 3회 9번(P529) 중간지점온도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7 |
답변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어느 지점에서 열의 전열량은 똑같습니다 다른 유사한 문제들도 지점별로 나누어 풀이 과정을 두 가지 방법으로 푼 것이 있습니다. 결국 전열량은 같다고 놓고 방정식으로 풀어야 하는 것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63 | 2014넌 3회 8번 (P529) 보일러 분출량 계산 | yng**** | 2021-11-07 | 1856 |
2014넌 3회 8번 (P529) 보일러 분출량 계산에서 응축수 배출량을 감안했는데요. 필기 교재(P490) 에서는 급수량에 곱했는데요 어떤게 맞는건지요? |
||||
48871 | [답변] 2014넌 3회 8번 (P529) 보일러 분출량 계산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7 |
답변입니다) 풀이과정 및 문제 중 조건에 오류가 있었네요. 다음과 같이 풀이과정을 수정하였습니다. 정오표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계산과정) 주어진 조건에서 응축수 배출량 : 400 L/h 를 응축수회수량 : 400L/h로 수정합니다 1) 응축수 회수율 = 400(L/h)/1000(L/h) = 0.4 2) 응축수 배출율(k) = 1-0.4 = 0.6 3) 분출량(y) = x * a/(b-a) * k = 1000(L/h)*8(h/day)* 20(ppm)/(2000-20)(ppm) * 0.6 = 48.48 L/day 4) 이렇게 풀이과정을 익혀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79 | [답변] 2014넌 3회 8번 (P529) 보일러 분출량 계산 | yng**** | 2021-11-08 | 1855 |
48880 | [답변] 2014넌 3회 8번 (P529) 보일러 분출량 계산 | 김계호 교수 | 2021-11-08 | 1864 |
답변입니다) 1. 분출이라는 것은 보일러수를 수처리하기 위해 지속적인 약품을 투입합니다. 그러다보면 보일러수(=관수)가 농축이 되어 PH가 12 이상 올라가게 되면 일종의 알카리부식인 가성취화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프라이밍 포밍 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농축된 보일러수를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2. 분출량을 선정할 때 보일러내에 들어 있는 관수와 급수의 농도를 고려하고, 또한 응축수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3. 응축수는 보일러에서 현장으로 공급된 증기가 일을하고 나면 양질의 응축수로 변하게 되는데 가급적 회수를 합니다. 4. 여기서 응축수 회수율이 0.4가 나왔다는 의미는 40%는 회수되어 보일러로 되돌아오고 나머지 60%는 그냥 밖으로 배출된다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5. 따라서, 계산식에서 분출량(Y) = (1000*8)*20/(2000-20) =80.8(L/day)은 응축수 회수율이 0일 때의 전량 분출량이 됩니다. 여기서 40%가 회수되어 그대로 배출되는 60% 만큼은 80.8(L/day)에 곱해 줘야 최종 분출량이 되는 것입니다. 6. 따라서 회수율(0.4)을 곱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률(1-0.4-=0.6)을 곱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 부분은 어제 긴급히 정오표로 배부해 드렸습니다. 배부해 드린 내용대로 풀이과정을 익혀 주십시오. 7. 풀이 과정이 매끄럽지 못해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61 | 2014년도 3회 10번(P530) -600(9H+W) 과 -1.244(9H+W) 에 | yng**** | 2021-11-07 | 1857 |
교수님 2014년도 3회 10번(P530) : 발열량에서는 -600(9H+W)를 사용하고 가스배기량에서는 -1.244(9H+W) 를 쓰는데요 1.244와 9H는 어떻게 나온건가요? |
||||
48867 | [답변] 2014년도 3회 10번(P530) -600(9H+W) 과 -1.244(9H+W) 에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8 |
답변입니다) 1. -1.244(9H+W) = -11.2H - 1.244W 로 전개할 수 있습니다 2. 22.4 Nm^3 에서 1) H2 (분자량 2) = 22.4 / 2 = 11.2 2) H2O (분자량 18) = 22.4 / 18 = 1.244 3. 위 식을 계산하기 쉽게 -1.244(9H+W)로 묶은 것입니다 (전개한 채로 식을 써도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60 | 2015넌 1회 5번 40mmAq | yng**** | 2021-11-07 | 1858 |
교수님 2015넌 1회 5번 40mmAq가 40mmH2O가 혹시 아닌가요? | ||||
48866 | [답변] 2015넌 1회 5번 40mmAq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9 |
답변입니다) 1. mmH2O는 수주를 의미합니다. 다시말하면 물 기둥의 높이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2. 물은 라틴어로 아쿠아(Aqua)에서 유래한 것으로 mmAq도 같은 의미입니다 3. 결국, mmH2O = mmAq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59 | 2015년도 실기(p535,536)11번과 12번에서..... | yng**** | 2021-11-07 | 1859 |
교수님 2015년도 실기(p535,536)11번과 12번에서.....G를 실제증발량과 급수사용량으로 혼용되는데요...둘다 맞는거지요? | ||||
48865 | [답변] 2015년도 실기(p535,536)11번과 12번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60 |
답변입니다) 1. 맞습니다. G는 실제증발량입니다. 실제증기발생량이 제시가 되지 않으면 시간당 급수량으로 쓰면됩니다. 2. 이렇게 하는 것은 열정산에도 나와 있으니 그대로 따르면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