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858 | 2015년도 3회 5번 교축후 증기건도가 증가하는데요? | yng**** | 2021-11-07 | 1856 |
교수님 2015년도 3회 5번 교축후 증기건도가 증가하는데요? 랭킨사이클에서 터빈도 교축과정인가요? 터빈은 무슨 에너지로 회전하나요? 터빈출구는 건도가 감소하나요? |
||||
48864 | [답변] 2015년도 3회 5번 교축후 증기건도가 증가하는데요?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7 |
답변입니다) 1. 랭킨사이클에서 터빈도 교축과정인가? 터빈에서의 과정은 단열팽창과정입니다 2. 터빈은 무슨 에너지로 회전하는가? 랭킨사이클을 보면 급수펌프-보일러-과열기-터빈-복수기 사이를 움직이는 밀폐사이클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및 과열기에서 발생한 과열증기의 힘으로 운동합니다 3. 터빈출구에서의 건도는 감소? 랭킨사이클에서 보일러 및 과열기를 거친 증기는 터빈 출구에서 증기의 건도가 높아집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57 | 에너지관리기사 | han****** | 2021-11-07 | 1857 |
2012년 3회 문제9 풀이에서 분모에서 급수량 12ton/h는 12*1000kg/m3인것 같은데 12m3/h*1000kg/m3로 풀었는데 잘이해가 가지 않아 문의 드립니다, |
||||
48862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7 |
답변입니다) 1. 비중을 계산할 때 액체, 고체의 기준이 되는 것은 물입니다. 따라서 물은 비중이 1입니다. 이 말은 물이 1ton/m^3 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물에서는 1m^3 = 1 ton 이 되기 대문에 상호 전환이 가능한 것입니다 2. 따라서 질의하신 것처럼 12ton/h = 12m^3/h 이 되는 것 이해가 되시죠?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7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 han****** | 2021-11-07 | 1857 |
1000kg/m3은 왜 곱했는지요? | ||||
48873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7 |
답변입니다) 1. 12ton/h = 12m^3/h * 1000kg/m^3 = 12000kg/h 입니다 2. 결국 ton을 kg으로 고치기 위해 1000을 곱한 것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52 | 2016년 3회 9번(p559) 대수평균면적법으로 풀면 6794.686kJ/h 으로 0. | yng**** | 2021-11-07 | 1858 |
2016년 3회 9번(p559) 대수평균면적법으로 풀면 6794.686kJ/h 으로 0.1 차이가 나네요... | ||||
48855 | [답변] 2016년 3회 9번(p559) 대수평균면적법으로 풀면 6794.686kJ/h 으로 0.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6 |
답변입니다) 1. 풀이과정에서 이상없으면 상관없습니다. 파이를 3.14로 계산할 때와 3.14159로 계산하면 큰 값에서는 차이가 나겠지만 답을 틀렸다고 하지 않는 것 처럼 문제 없습니다. 2. 교재에서 2가지 방법으로 풀 때 소수점이하의 값이 달라지지만 푸는 과정에서 이상 없으면 정답으로 처리합니다. 3. 결론적으로 대수평균법을 정상적으로 풀이했다면 당연히 정답이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51 | 2017년 1회 9번 | yng**** | 2021-11-07 | 1858 |
그럼 CO + 0.5O2 = CO2 + 122.08 MJ/kg 가 성립한다는 뜻인데요...p618 헤스의 법칙 풀이 방식으로 역으로 계산하면 성립이 안되는데요... | ||||
48854 | [답변] 2017년 1회 9번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8 |
답변입니다) 탄소가 완전연소했을 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탄소가 불완전연소 했을 때 일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일산화탄소 발열량은 탄소의 완전연소 발열량에서 불완전연소의 발열량을 뺀 값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역으로 계산한다면 122.08+283 = 405 MJ/Kmol 이 나오면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50 | 에너지실기 p636 피토관을 이용한 공기유속계산에서.... | yng**** | 2021-11-07 | 1859 |
p575 수은액주계 단위를 mHg 로 환산했으므로 또한 p635 오리피스차압을 mH2O 로 환산했으므로 p636 피토관 유속도 mH2O 로 환산해서 V= 루트(2*9.8*0.04*1000/1.25-1)=25.023 으로 계산하면 안될까요? |
||||
48853 | [답변] 에너지실기 p636 피토관을 이용한 공기유속계산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11-07 | 1857 |
답변입니다) 풀이법은 다양하게 풀 수 있겠습니다. 질의하신 것처럼 공기와 물의 비중량 차를 이용해서 풀어도 상관없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48 |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han****** | 2021-11-06 | 1855 |
2015년 2회 문제5 풀이에서 Q=KA△t = λA△t/d 1 )궁굼한점 : 좌측공식과 우측공식이 같다고 등식을 세워 풀이하였는데 왜 우측공식만으로 풀지않고 등식이 같다고하고 문제를 풀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2) 궁금한점 : K값에 열전달율 20을 대입했는데 K는 열관류율인데 왜 20을 대압해서 풀었는지, 아니면 열전달률이라면 1/20을 대입해서 풀어야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
48849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11-06 | 1856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대로 식을 잘 세우셨는데요.... 문제를 잘 보시면 물체의 내부(220도)에서 외부(20도) 사이를 빠져나가는 열량과 외부(20도)에서 대기(0도) 사이를 빠져 나가는 열량은 같다에서 출발한 것입니다 2. 1) 내부(220도)에서 외부(20도)를 빠져 나가는 열량(Q1) Q1 = λA△t/d = λ* 1* (220-20)/0.4 2) 외부(20도)에서 대기(0도)를 빠져 나가는 열량(Q2) Q2 = K A △t = 20 X 1 X (20-0) 3) Q1 = Q2 λ* 1* (220-20)/0.4 = 20 X 1 X (20-0) λ = 0.8 W/m*k 3. 여기서 열관류율과 열전달율은 같은 단위(w/m^2*k) 입니다 위 K 값이 20을 그대로 대입하면 됩니다 4. 질의하신 1/20을 대입하는 건 같은 의미입니다 위에서 Q2 = A△t/(1/K) = KA△t 에서 = 1X(220-20)/(1/20) = 20X1X(220-20) 로 같은 결과식입니다 한번 더 확인해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46 | 답변 검색해서 찾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yng**** | 2021-11-05 | 1855 |
답변 검색해서 찾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질소 몰분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