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737 | 2021녀2회 17번 실기문제풀이과정 | adu***** | 2021-10-21 | 1855 |
전선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상태에서는 전선피복내부가 외부보다 온도가 높아야 하지 않나요? |
||||
48739 | [답변] 2021녀2회 17번 실기문제풀이과정 | 김계호 교수 | 2021-10-21 | 1855 |
답변입니다) 문제 중에서 열전도율이 빠진채 복원을 하다보니 풀이 과정에 오류가 있었습니다. 새로 정리한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2회 필답형 17번 문제17) 그림과 같이 두께 1mm로 피복이 된 전선이 있다. 이 전선에 9V의 전압과 10A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 이 전선의 길이는 10m, 열전달계수는 15W/m^2·K 일 때 전선과 피복 접촉부의 온도 (℃)를 구하시오. (단, 전선의 피복 열전도율은 0.15W/m·℃, 전선의 외부온도는 30℃ 이다) 참고) 온도차 : 절대온도(K) = 섭씨온도(℃) 계산과정) Q(W) = V×I = 9×10 = 90(W) Am = (A2-A1)/ln(A2/A1)= 2*파이*L(r2-r1)/ln(r2/r1) = 2*파이x10(m)x(0.002-0.001)(m)/ln(2/1)= 0.09(m^2) K= 1/(0.001(m)/0.15(W/m*K) + 1/15(W/m^2*K = 13.636 (W/m^2*K) Q = K Am dT 90(W) = 13.636(W/m^2*K)×0.09(m^2)×(Tm-30)(℃) ∴ Tm = 103.34℃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46 | [답변] 2021녀2회 17번 실기문제풀이과정 | adu***** | 2021-10-22 | 1855 |
그냥 생각해보는데요 여름에 외부온도가 30도인 전선에 전류를 흘렸을때 내부온도가 100씨가 넘으면 전선 피복이 녹지 않을까요?????? 혹시 주울열을 이용해서 풀어야 하는건 아닌지요??? |
||||
48747 | [답변] 2021녀2회 17번 실기문제풀이과정 | 김계호 교수 | 2021-10-22 | 1855 |
답변입니다) 그렇게 생각할 수 도 있겠네요. 주어진 조건으로 푼 결과 이렇게 나왔는데 그 조건이 100% 정확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모든 것이 시험을 치른 수험생의 기억에 의존하다보니.... 그런데 주울열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시간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할 뿐 아니라 결국은 KW=3600KJ/H에서 열량의 변화가 있을 수 있나요? 전력량(W)= 전압(V)X전류(I) 공식을 풀었다면 당연히 정답 처리해야겠지요. 제가 시험 출제위원이었다면 효율을 조건으로 제시하여 발생 온도를 낮춘다든지 열전달계수를 조정한다든지 하여 발열온도를 조정했을 것 같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36 | 2016년1회 13번 실기문제 풀이과정 | adu***** | 2021-10-21 | 1855 |
R값이 0.082로 해야 답이 나오는데요 0.82가 아니고..... |
||||
48738 | [답변] 2016년1회 13번 실기문제 풀이과정 | 김계호 교수 | 2021-10-21 | 1855 |
답변입니다) 동영상 촬영분을 확인해보니 R= 0.082 로 정상적으로 풀이가 됐는데 출판 편집 과정에서 오타가 있었네요. 죄송합니다. 즉시 오타 수정하고 긴급히 정오표를 보내드리도록 조치했습니다. 관련 문제는 동일 문제로 1) 2010년 3회 5번 (P466) 2) 2014년 2회 6번 (P523) 3) 2016년 1회 13번 (P551) 해당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32 | 2016년 3회 11번 문제 | ytj**** | 2021-10-19 | 1855 |
피토관 유속 구할때 문제풀이로 구한 식 말고 v=루트 2gh*1000kg/m^3-1.3kg/m^3/1.3kg/m^3 = 38.80m/s 로 풀어도 되나요??? |
||||
48733 | [답변] 2016년 3회 11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0-20 | 1855 |
답변입니다) 11번) 문제에서는 단순히 동압을 수주로 주어진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100mmH2O=100kg/m^2로 단순히 계산해서 푼 것입니다. 질의하신 방법은 비중량을 이용해 푸는 방식인데, 이 경우 주어진 값을 m로 환산한 후 물과 공기의 비중량 값의 비로 계산하면 답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겠지만 정상적인 풀이과정이 되는 것입니다. * 실제로 시험에서 공기의 비중량과 물의 비중량이 동시에 주어진다면 질의하신 방법으로 푸는 게 맞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29 | 2014년 1회 7번 공연비 문제 문의 | jin**** | 2021-10-19 | 1861 |
2014년 1회 7번 공연비 문제입니다. 공연비는 질량비인데 23.8은 부피비를 구한 것 같습니다. 20년 4회 17번 공연비 풀이식과 차이가 있는데 무엇이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맞는 풀이와 답을 알려 주시면 감사합니다. |
||||
48730 | [답변] 2014년 1회 7번 공연비 문제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10-19 | 1860 |
답변입니다) 며칠 전에 이와 관련하여 질의가 있어 확인 한 결과 푸는 과정에 오류가 있었습니다. 질의하신 내용대로 공연비= 공기의질량/연료의질량 으로 나타냅니다. 그래서 이 문제와 풀이를 어제 에디스트에서 재촬영을 마쳤습니다. 곧 수정된 내용이 올라 올 것입니다. 우선 새로운 풀이 내용을 미리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 C1.16H4.32의 연료를 완전연소 시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 연료 1Nm^3 연소시 이론공기량(Nm^3) 2) 공연비 풀이) C1.16H4.32 + (1.16+4.32/4) O2 = 1.16 CO2 + 4.32/2 H2O 1) 이론공기량(Ao) = (1.16+4.32/4)/0.21 = 10.67 Nm^3 2) 공연비 = 공기의질량/ 연료의질량 = (1.16+4.32/4)x32/0.232 / 12x1.16+4.32 = 16.94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27 |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문의드립니다 | neu***** | 2021-10-18 | 1855 |
오늘 실기접수를 하였습니다 동영상강의는 1회 완료하였구요 과년도 문제 와 필답형 500문제 1번씩 풀이 해보았습니다 동영상문제 출력해서 틈틈히 보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막막한 기분이 듭니다 과년도 문제와 필답형 문제를 반복해서 풀이 하는쪽으로 해야 하는지 아니면 단답 300문제와 특강 300문제 까지 봐야 하는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마음이 조급해서 글 남깁니다 이번시험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 보입니다 합격기준으로 어느쪽을 선택해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
48728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문의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10-18 | 1856 |
답변입니다) 지금쯤 실기를 준비하는데 있어 확실한 확신있는 수험생은 별로 없습니다. 아직 3주 이상 남아있습니다. 과년도 문제와 필답형 문제를 한번씩 풀이하고서 동영상 문제를 공부하고 있을 정도면 정상적인 과정을 보내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런데 효울적인 공부를 위해서는 마지막 1주일 정도는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공부할 정도의 시간은 배분해둬야 합니다. 그리고 그사이에는 기출문제와 단답형, 특강형 문제까지 공부하는 게 좋습니다. 모두 공부하면 좋겠지만 만약 시간이 안된다면 동영상문제보다는 단답형, 특강형 쪽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단답형 문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쪽에서도 이번 시험에 많이 단답형으로 출제된 바 있습니다. 아직 시간 충분합니다. 마지막 일주일 남기고서는 정말 선택과 집중을 통해서 기출문제를 다루고 좀 여유가 된다면 다른 부분까지 공부하길 권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22 |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han****** | 2021-10-17 | 1855 |
제2편 p135, 43번 문제에서 이론습연소가스량 계산식에서 11.2H+1.244W 에서 H, W 앞에 나온 숫자가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 ||||
48724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10-17 | 1855 |
답변입니다) 질의하신 다른 원소와 꼭같은 방식으로 산출한 것입니다 H2 = 22.4/2 = 11.2 W = H20 = 22.4/2+16 = 22.4/18 = 1.244 이걸 묶어서 11.2H2 + 1.244W = 1.244(9H+W) 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21 |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han****** | 2021-10-17 | 1855 |
항상 친절하고 빠른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제2편 p169, 142번 문제에서 실제습배기가스량 계산식에서 1.244(9H+W)에서 1.244가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