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260 | 효율관리 기자재 결과 신고날짜 | sun*** | 2021-08-22 | 1856 |
효율관리 기자재 제조업자가 효율관리 시험기관으로 부터 측정결과를 통보받으면 60일 이내로 신고하나요 90일이내로 신고하나요? 2010년부터 풀었을때는 60일로 알고 있었는데 2018년 1회 79번 문제에서는 90일로 바뀌었다고 강의 하시던데 정오표에도 없고 한번도 언급이 없었던거 같은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
||||
48262 | [답변] 효율관리 기자재 결과 신고날짜 | 김계호 교수 | 2021-08-22 | 1855 |
추가 답변입니다) 동영상편에 들어 가셔서 1. 에너지법 보충설명(개정분)을 들어 가면 60일에서 90일로 변경된 강의 내용이 상세히 나오니 관련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 그 외에 변경된 법규내용은 에너지관련 법규 주요 변경사항 편을 확인하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3. 올해까지 변경된 에너지관련법규를 필기를 공부하시는 수강생 여러분께 보내 드릴겁니다.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바뀐 주요 부분은 굵은 글씨로 표시 하였습니다(빨간색과 파란색). 다른 내용은 동일하니 쭉 넘어 가면서 그 부분만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잘 정리하셔서 시험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61 | [답변] 효율관리 기자재 결과 신고날짜 | las****** | 2021-08-22 | 1855 |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풀이 :: 효율관리 기자재의 제조업자가 효율관리 시험기관으로부터 측정결과를 통보받은 날 또는 자체측정을 완료한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한국 에너지관리공단에 신고하여야 한다. (60일→90일로 법규개정) * 90일이내가 정답이 맞습니다. 2013년 2회 63번 , 2013년 4회 61번, 2015년 4회 68번 , 2018년 1회 79번 모두 동일문제로 정오표 삽입이 아닌 2013년 과년도문제부터 법규개정으로 풀이에 설명 되어 있습니다. (2012년도 2회 73번 답안이 틀린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바로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48251 | 연소공학 이론습연소 가스량 질문입니다 | neu***** | 2021-08-19 | 1858 |
연소공학 이론습연소 가스량 기체공식이 (1-0.21)AO+H2+CO2+CH4+....H20 2015년 9월 1번문제 풀이에서는 CH4 메탄이 3XCH4 인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
||||
48252 | [답변] 연소공학 이론습연소 가스량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08-19 | 1856 |
답변입니다) 이론습연소 가스량 계산공식 중에서 Gow = (1-0.21)Ao + H2 + CH4 + CO2 + ...+H2O 공식을 사용하면 되는데 일부 공식에서는 GOw = AO*0.79+H2+CO+3CH4+(m+n/2)CmHn 또는 GOw = AO + 0.5H2 + 0.5CO + O2 공식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와 비슷한 질의가 있어서 2020년 12월 14일 게시판에 답변을 한 적이 있습니다) 정확히 정리된 공식 보다는 맨위에 제시된 공식에서 (필기시험인 경우) CH4 대신 3CH4를 대입해서 푸는 경우도 있음을 알려 드린바 있습니다. 참고하셔서 질의 하신 문제 같은 경우는 3CH4로 계산해서 풀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CH4에서 (1+4/2)CH4=3CH4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25 | 강, 주철관 구분 | 122**** | 2021-08-05 | 1855 |
항상 질문에 대한 빠른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공부하는 내용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하다보니 강사님께만 의지하고 공부하고 있읍니다 사소한 질문이라도 너그러이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13페이지 배관및 밸브 동영상 강의 내용중 강과 주철관 구분시 탄소함유량으로 구분 합니다 동영상 강의시에는 강관 : C 2% 이상, 주철관 : 2% 이하 입니다 그런데 415페이지에는 강(Steel) : 탄소 함유량 2% 이하 주철(Cast iron) : 탄소 함유량 2% 이상 이라고 인쇄 되어 있읍니다 어느것이 맞는 내용 인지요? |
||||
48226 | [답변] 강, 주철관 구분 | 김계호 교수 | 2021-08-05 | 1856 |
답변입니다)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기준은 탄소함유량입니다. 탄소를 많이 함유할수록 단단하고 잘 깨지는(취성) 성질이 있습니다. 강은 탄소함유량이 2%이하이고, 주철은 탄소함유량이 2% 이상입니다. 따라서 주철은 단단하고 취성이 있어 용접이 곤란한 재질입니다. 교재 내용이 맞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동영상을 확인해보니 뒤바껴서 설명을 했군요. 나머지 주철에 대한 설명 등은 다 맞는 내용입니다. 교재내용대로 강은 탄소함유량 : 2% 이하 주철은 2% 이상 으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23 | 에너지 관리기사 공부방법문의 | ssa***** | 2021-08-03 | 1859 |
[문의]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강의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과년도기출 말고 필기이론과 핵심 문제 만으로 필기 합격 가능 할까요? 필기 한권으로 계속 회독 돌리려고 계획해볼지 생각 중입니다. |
||||
48224 | [답변] 에너지 관리기사 공부방법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08-04 | 1859 |
답변입니다) 1. 기출문제는 필기이론을 공부한 후 정리하는 완결편입니다. 최소한 10년도 정도의 문제는 풀어야 확실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2. 필기시험에서 착실히 실력을 다져 놓으면 2차 필답형에서 자신있게 치를 수 있습니다 3. 아직 시간이 충분하니 필기를 1~2회 정도 공부한 후 기출문제를 2021년도 뒷부분에서 부터 역으로 시간이 될 때까지 풀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4. 처음에는 무척 힘들다고 느껴지겠지만 2~3번 접하다보면 뭔가 잡히는 부분이 있을겁니다. 그 부분만 넘으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5. 연소공학과 열역학은 특히 계산문제가 반복해서 출제되는 경우 있으니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 볼수록 유리합니다 6. 계측기부분과 기타 암기부분도 놓치지 마시고 정리하시면 고득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14 | 진발열량 문제 | 122**** | 2021-07-30 | 1856 |
1. 에너지관리기사 연소공학 동영상 문제풀이 190페이지 34번 문제에서 진발열량이 가장 큰것은? 답: 에탄 보기) 에탄,메탄,수소,일산화탄소 강의 책자 연소공학 173페이지 중간쯤 당위 중량당 저위 발열량에서는 수소가 가장 큼닙다 수소:34000, 에탄:12550, 메탄:13000, 아세틸렌:12130 에탄이 정답인 이유가 뭔지요? 2.197페이지 82번문제 저위발열량이 가장 낮은것은 ? 답: 아세틸렌 보기) 수소,메탄,아세틸렌,에탄 1.2번 문제가 같은 유형의 문제 아닌가요? |
||||
48215 | [답변] 진발열량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07-30 | 1856 |
답변입니다) 1. 발열량이 크고 적음을 구분할 때 기준이 무엇인지를 먼저 확인 하셔야 합니다. 단위중량당 발열량(kcal/kg) 인지 단위체적당 발열량(kcal/Nm^3)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2. 강의 중에 정말 많이 강조 한 것이 있습니다. 1) 기체연료는 단위 중량당 발열량이 크다 2) 고체연료는 단위 체적당 발열량이 크다 3. 기체연료 중 단위체적당 발열량(kcal/Nm^3)이 큰 것을 고르려면 분자량이 큰 것을 고르면 됩니다. 질문하신 190쪽 34번 문제에서 진발열량(kcal/Nm^3)은 단위체적당 발열량으로 물어 본 것입니다 값의 차이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1) 에탄 : 약 15,230kcal/Nm^3 2) 메탄 : 약 8,560kcal/Nm^3 3) 수소 : 2,580kcal/Nm^3 로 나오는데 여기서 분자량이 큰 것을 고르면 됩니다. 그러니까 에탄이 답입니다. 만약 프로판(C3H8)이 함께 나오면 당연히 프로판이 제일 크겠죠. 분자량이 44니까요. 실제 프로판의 발열량은 약 21,800 kcal/Nm^3 이 됩니다. 여기에 부탄이(C4H10)이 함께 나오면 부탄이 제일 큽니다. 부탄은 분자량이 58이고 발열량은 28,340kcal/Nm^3 이 됩니다. 4. 그런데 173쪽의 내용은 단위 중량당 발열량(kcal/kg)입니다. 수소는 분자량이 제일 작기 때문에 단위 중량당 발열량이 당연히 크지요. 자료에서 보듯이 단위체적당 발열량은 에탄이 메탄보다 크지만 단위중량당 발열량은 반대로 작습니다. 5. 차분히 내용을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16 | [답변] 진발열량 문제 | 122**** | 2021-07-30 | 1855 |
빠르고 명퀘한 답변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단위를 잘 보고 문제를 풀도록 하겠읍니다... |
||||
48209 | 2019년도 2회차 12번 문제에서 | cks******* | 2021-07-27 | 1855 |
2019년도 2회차 12번 문제에서 PA’[kg/㎠] = Po + γ₁h₁ = γ₁h₁ = ((13.6x1000)÷10000) x h₁ = 1.36 x h₁ PA[kg/㎠] = PB[kg/㎠] + γ₂h₂ = PB + ((1000)÷10000) x 80cm = PB + 8 PC[kg/㎠] = ((52Kpa÷101.325Kpa) x 1.0332[kg/㎠] = 0.53[kg/㎠] PB[kg/㎠] = PC[kg/㎠] + γ₃h₃ = 0.53 + ((1000)÷10000) x 200cm = 20.53 PA’ = PA에서 1.36 x h₁ = PB + 8 = 20.53 + 8 h₁ = (20.53 + 8)/1.36 = 20.98 cm 교수님께서 풀어주신 답과 맞지 않아서 어디서 실수한건지 지적 부탁드립니다. |
||||
48211 | [답변] 2019년도 2회차 12번 문제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07-27 | 1857 |
답변입니다) PB = PC+r3h3 가 잘못됐네요. r3h3가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부호가 틀렸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05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94번 문제 해설에서 | cks******* | 2021-07-26 | 1855 |
Pt + ((0.9 x 1000 x 0.3)÷10000) = 1.0332 + ((13.55 x 1000 x 0.2)÷10000) Pt = 1.0332 + ((13.55 x 1000 x 0.2)÷10000) - ((0.9 x 1000 x 0.3)÷10000) Pt = 1.2772 = 1.28kg/㎠ 혹시 이렇게 되어야 맞는게 아닌지 문의드립니다. 높이가 0.3m로 계산되어야 하고 대기압은 1.0332kg/㎠로 계산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해서요 |